육아 환경 든든한 세종 서울시 출산율의 2배

육아 환경 든든한 세종 서울시 출산율의 2배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3-04 22:22
업데이트 2018-03-04 2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년간 지역별 양극화 심화…정부 “주거·교육 지원방안 마련”

서울과 세종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 차이가 2배에 이르는 등 지역별 출산율 격차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저출산 대책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착수하기로 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2차관 등이 참석한 간부 회의를 소집해 “국가재정운용계획(5년 단위)을 손질해 저출산과 관련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또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인 1.05명으로 떨어진 것과 관련해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저해하는 큰 위험 요인이며 과감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주거와 교육 등 생애 주기의 관점에서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실제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이 1.67명으로 가장 높았다. 2015년부터 합계출산율 1위 지역에 오른 세종은 중앙 부처 공무원과 국책 연구기관 종사자 등 고용이 안정된 데다 보육·교육 관련 공공인프라 등도 잘 갖춰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서울(0.84명)의 2배에 이르는 것이다. 서울은 2010년부터 합계출산율 전국 꼴찌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과 세종의 출산율 격차는 2015년 1.89배(세종 1.89명, 서울 1.00명), 2016년 1.94배(세종 1.82명, 서울 0.94명) 등으로 커지고 있다.

전국 합계출산율이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되는 1.3명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01년부터다. 이후 17년 연속 초저출산 국가라는 불명예를 벗지 못하는 실정이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3-05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