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은 행복한 밥상에서 시작”...행복밥상 문화축제 신동헌 시장 인터뷰

“건강은 행복한 밥상에서 시작”...행복밥상 문화축제 신동헌 시장 인터뷰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18-09-28 22:12
업데이트 2018-09-28 2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복한 가족의 비밀은 행복한 밥상 앞에 앉은 가족들에게 있어“

이미지 확대
28일 오후 행복밥상 문화축제에서 신동헌 시장이 광주를 대표하는 식재료를 사용해 자신만의 쌈 요리를 선보이는 ‘광주 한 쌈’ 만들기 품평회에서 시식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28일 오후 행복밥상 문화축제에서 신동헌 시장이 광주를 대표하는 식재료를 사용해 자신만의 쌈 요리를 선보이는 ‘광주 한 쌈’ 만들기 품평회에서 시식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건강은 행복한 밥상에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행복한 밥상을 통해 가족은 하나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1회 자연채 행복밥상 문화축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고 기획 단계부터 참여한 PD출신 농촌·농업 전문가인 신동헌 광주시장은 건강과 행복 그리고 가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신 시장은 “행복밥상 문화축제는 시민들이 가족과 함께 먹고 보고 듣고 즐기며 추상적인 개념의 행복을 구체화시켜 시민들이 행복을 느끼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면서 “밥상은 역사적으로 사회적 소통 공간이고 행복밥상 축제는 시민 모두가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며 이웃과 행복을 나누기 위해 마련된 축제”라고 설명했다.

‘쌈’을 소재로 한 이번 축제는 광주시 농축산물 브랜드인 ‘자연채’의 쌈 채소류를 광주시민에게 홍보하는 목적도 있지만 더 큰 주제는 ‘행복’이다. 그래서 전국 여느 농산물 축제처럼 농산물 등 각종 판매장도 없다.

대신 농산물을 이용해 만든 가공품 등을 알리는 농산물홍보관, 아이들에게 농산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지 알 수 있게 하고 가정에서 쌈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소개하는 양액재배홍보관 등은 운영한다.

“행복한 가족의 비밀은 바로 행복한 밥상 앞에 앉은 가족들에게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핵가족화와 생활패턴의 변화로 가족이 함께 모여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신 시장은 가족들이 행복한 밥상을 함께 하기 어려운 세태에 대해 아쉬워했다.

신 시장은 “행복한 가족을 만들기 위해 가족이 함께 하는 식사자리를 늘려야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며 그 기회를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자리가 바로 행복밥상 문화축제”라며 “이번 축제로 주민화합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가족단위 참여로 바쁜 일상 속에서 모이기 힘든 가족이 저녁에 함께 모여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