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소방수 쓰면 유면 넓어져 화재 번져…폼 섞은 액체 사용 탱크 안 기름 모두 빼내 완전 진화…최준성 사장 ‘대국민 사과’
이미지 확대
7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송유관공사 저유소에서 휘발유 탱크 폭발로 추정되는 큰불이 발생, 소방대원등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2018.10.7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7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송유관공사 저유소에서 휘발유 탱크 폭발로 추정되는 큰불이 발생, 소방대원등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2018.10.7 연합뉴스
7일 오전 11시쯤 경기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대한송유관공사 경인지사 고양저유소의 휘발유 탱크에서 유증기 폭발로 추정되는 불이 났다.
주변 주민들에 따르면 ‘펑’ 하는 폭발음과 함께 검은 연기와 불길이 치솟았다. 소방대가 진화작업을 하면서 다소 소강상태를 보였던 불길은 정오쯤 2차 폭발이 나면서 다시 거세졌다. 초기에 대응 2단계를 발령한 소방당국은 오흐 1시를 기해 최고단계인 대응 3단계로 격상했다.
그러나 소방당국은 추가 폭발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유류탱크 화재 특성상 열기가 상당해 소방관들의 접근이 쉽지 않아 헬기 등 장비를 통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며 “불이 난 휘발유 탱크에서 조심스럽게 기름을 빼내는 작업도 함께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양저유소에는 총 14개의 옥외탱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총 유류 7738만ℓ를 보관하고 있다. 이중 불이난 저유 탱크에는 446만ℓ의 휘발유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평소 이곳에는 용역직 9명을 포함해 직원 37명이 근무하고 있지만 휴일이라 탱크 근처에서 일하던 직원이 없어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소방헬기 등 장비 111대와 인력 300여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완전 진화에는 애를 먹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휘발유 특성상 일반 소방수로 진압하면 오히려 불이 번질 수 있는 플래시 오버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유류 화재라 폼(거품)을 섞은 소화액으로 진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불길을 완전히 잡기 위해서는 탱크 내부의 기름을 모두 빼내야 한다. 여기에 6~7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고양시는 이날 낮 12시 35분 긴급재난문자를 통해 인근 주민들에게 안전에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경찰도 순찰차 5대와 인력 30여명을 투입해 교통통제 등 지원에 나섰다.
한편 불이 나자 검은 연기가 치솟으면서 고양지역은 물론 인근 서울과 김포지역에서도 화재 여부를 묻는 시민들의 전화가 빗발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최준성 대한송유공사 사장은 경인지사 사무실에서 “먼저 불의의 화재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려 진심으로 송구하다”면서 대국민 사과를 했다.
이어 “우리 회사는 소방당국과 협조, 피해 없이 조기 진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진화를 위해 애써 주시는 조종목 소방청장과 소방관님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면서 “다시 한번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하다”고 덧붙였다.
고양저유소는 인천에서 31㎞ 길이의 송유관을 통해 하루 2542만ℓ의 휘발유와 경유·등유 등을 받고 있다. 일일 최고 이동탱크차량 1100대 분량의 유류 2176만ℓ를 수도권 지역에 공급할 수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불이 진화되는 대로 관련기관과 합동으로 정확한 화재원인과 피해규모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