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할퀴고 간 포항 1년 만에 가보니
거주 불가 판정 대성아파트 ‘흉물’ 그대로흥해초교 두 동 철거…컨테이너서 수업
한동대 학생 “비상물품 가방 늘 가까이 둬”
1년 넘게 두 딸·부인과 텐트생활 40대도
8~9평 ‘희망보금자리’ 약 30여명 거주
“에어컨도 없이 폭염 견뎌… 올 겨울 걱정”

‘전파’(全破) 판정을 받아 출입이 통제된 경북 포항시 북구 대성아파트. 건물이 기울어지고 기둥이 무너져 내린 채 방치돼 있다.

지진 피해를 입은 건물 두 동을 허물고 임시 컨테이너 교실을 설치한 흥해초등학교 모습. 5, 6학년 6개 학급이 이곳에서 수업을 듣는다.
지진 대피소였던 흥해체육관에는 2평(6.6㎡) 남짓 크기의 텐트 250개가 해체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었다. 1년이 지난 지금도 30명쯤 살고 있다고 했다. 기자가 방문했을 때에는 주민들이 일터로 나갔는지 텐트 안에 남아 있는 사람은 몇 명 되지 않았다. 회사원 김준호(49·가명)씨는 아내와 두 딸과 함께 텐트에서 지내고 있었다. 김씨는 “태풍은 예보라도 있지만, 지진은 이사를 간다고 해서 피할 수 있는 게 아니다”면서 “그저 하늘에 운명을 맡길 뿐”이라고 체념한 듯 말했다.

지진 이후 마련된 희망보금자리 이주단지. 컨테이너 시설이라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다.

지진 당시 외벽 벽돌이 와르르 무너지는 영상이 공개됐던 한동대는 건물 수리가 말끔하게 마무리됐다. 하지만 학생들은 1년 전 악몽을 생생하게 떠올리며 불안감을 내비쳤다. 한예은(22)씨는 “지난해 12월까지 여진이 계속되면서 새벽에 자다가 서너 번 정도 집을 탈출했고, 지금은 미세한 떨림에도 예민하게 반응한다”면서 “언제라도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에 외투를 껴입고 자거나 비상 물품을 챙긴 가방을 항상 가까이 두는 것이 습관이 됐다”고 말했다.
포항시에 따르면 지진으로 주택이 반파 이상 피해를 입어 이주 대상이 된 가구는 총 793가구였다. 이 가운데 788가구(99.4%)가 이주를 완료했다. 남은 5가구는 이주가 진행 중이거나 개인 사정으로 이주를 못 하고 있다. 개인 주택에 사는 주민은 개별적으로 수리하거나 이사하면 되지만, 공동주택 주민들은 내부 수리를 할 때에도 이웃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등 절차가 매우 까다롭다. 이 때문에 지진 피해 아파트 대부분이 아직 철거 여부가 정해지지 않았다.

지진 이후 수리를 마친 한동대 기숙사 모습. 위험물 낙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외벽에 돌출된 처마를 설치했다.
글 사진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8-11-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