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명 입원 치료…“추가 감염자 확인 중”
대구 유명 산후조리원에서 전염성 호흡기 질환에 걸린 신생아 수가 18명으로 늘어났다.![대구 산후조리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발병](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1/08/SSI_20190108103343_O2.jpg)
뉴스1
![대구 산후조리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발병](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1/08/SSI_20190108103343.jpg)
대구 산후조리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발병
7일 오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가 발병한 대구의 한 산후조리원 건물 승강기 앞에 면회객 통제와 마스크 착용에 대한 안내문이 붙어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한 산후조리원에 있던 신생아가 재채기, 콧물 등의 증상을 보여 병원에서 진료한 결과 RSV 양성으로 확인됐다. 2019.1.7
뉴스1
뉴스1
4명은 퇴원했으며, 3명은 증상이 경미해 통원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조리원은 지난 7일부터 2주간 신생아실 운영을 중단했다.
산후조리원(8∼9층) 바로 아래층에 이 병원이 운영 중인 문화센터도 감염 방지와 소독을 위해 1월 한 달간 문을 닫기로 했다.
달서구보건소는 산후조리원을 거쳐 간 아기 68명과 산모 68명, 간호조무사 등 종사자 34명 등 총 170명을 상대로 호흡기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달서보건소 관계자는 “RSV 잠복기는 평균 5일로 길면 8일 뒤에도 발병한다”며 “추가 감염자를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RSV 감염증은 영유아, 면역 저하자, 고령자에게 모세기관지염이나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0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주로 발생하고, 호흡기를 통해 쉽게 전파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병원 측이 인터넷 카페에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발생으로 인한 사후 조치 안내’라는 글만 올린 채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자 이 병원에서 출산을 앞둔 임신부들은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다.
2월 출산을 앞둔 김모(30)씨는 “산후조리원을 다른 곳으로 예약해야 하는지 안내 조차 없어 우선 사태를 지켜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