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녀 48%·미혼남 29% “자녀 없어도 괜찮다”

미혼녀 48%·미혼남 29% “자녀 없어도 괜찮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9-02-07 22:26
업데이트 2019-02-08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출산 회의적 시각 3년 새 60%나 증가
결혼 전제 동거 찬성 늘어…女 70.5%
이미지 확대
결혼과 출산에 대한 미혼 남녀의 가치관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결혼 후 자녀가 없어도 괜찮다’는 인식이 과거보다 늘었고, 결혼에 대한 부정적 또는 유보적 인식도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저출산 정책이 성공하려면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와 현재 생활 수준을 면밀히 파악해 그 경향성을 이해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혼인구의 자녀 및 가족 관련 생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0~44세 미혼 남녀 2464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답변한 미혼 남성은 28.9%, 미혼 여성은 48.0%로 나타났다. 2015년 조사에서는 미혼 남성의 17.5%, 미혼 여성의 29.5%만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답했는데, 불과 3년 사이에 출산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1.6배 증가한 것이다.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남녀가 조금씩 달랐다. 남성은 ‘아이가 행복하게 살기 힘든 사회여서’(27.7%)를 1순위로 꼽은 반면, 여성은 ‘자녀가 있으면 자유롭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32.0%)를 첫 번째 이유로 내세웠다. ‘직장 생활을 계속하고 싶어서’라고 이유를 밝힌 응답자는 남성 2.4%, 여성 5.8%였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자녀가 생기면 자신의 일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여성에게 더 빈번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가정 양립을 보장해야 출산율도 올라갈 것이란 지적이다.

결혼에 대해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미혼 남성은 50.5%로 절반을 넘은 반면, 여성은 28.8%에 그쳤다. 다만 남성도 ‘결혼을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39.2%)는 유보적 응답 비중이 컸고, ‘하지 않는 게 낫다’(6.6%)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연구원은 “청년층 전반에 결혼에 대한 부정적 또는 유보적 태도가 널리 퍼져 있다”고 해석했다.

결혼을 전제로 한 동거에 대한 찬성 응답은 남녀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미혼 여성의 찬성률은 2015년 51.2%에서 지난해 70.5%로 19.3% 포인트 증가했다. 가족 형태와 관련한 전통적 가치관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2-08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