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더는 못 버틴다”… 유통 막힌 음식쓰레기, 송파에만 2000t 쌓여

[단독] “더는 못 버틴다”… 유통 막힌 음식쓰레기, 송파에만 2000t 쌓여

신형철 기자
입력 2019-03-10 23:38
수정 2019-03-11 0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음식물 쓰레기 80%, 건조분말 처리
비료 활용 단속·합법화 지연에 갈 곳 잃어
재활용 시설 창고·공터·주차장까지 점령
강동구, 인천 등 외부 부지 임대해 보관
“민간·공공시설 모두 한계… 최악 대란될 것”
이미지 확대
10일 서울 송파구 장지동에 위치한 공공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창고에 건조분말 포대가 가득 차 있다.
10일 서울 송파구 장지동에 위치한 공공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창고에 건조분말 포대가 가득 차 있다.
10일 서울 송파구 장지동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비료회사 등에 보내졌어야 할 음식물 쓰레기 건조분말 포대가 갈 곳을 잃고 창고와 공터, 주차장에 가득했다. 이곳에 쌓인 양만 2000t을 웃돌았다. 송파구 처리시설 관계자는 “이달을 버틸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서울뿐 아니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거의 모든 지역이음식물 쓰레기 처리 대란을 앞두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서울의 공공 음식물 재활용 처리시설은 모두 4곳이다. 이곳에선 건조분말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다. 송파구에 이어 강동구 음식물 재활용센터도 더이상 건조분말 포대를 둘 곳이 없어 경기와 인천으로 보내고 있다. 재활용센터 관계자도 “서울 시내 음식물 처리장들이 모두 포화 상태”라면서 “(우리는) 외부에 부지를 임대해 창고로 쓰는데,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아 곧 한계 상황에 직면할 것 같다”고 털어놨다.

민간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경기 하남시의 민간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창고엔 건조분말 포대가 꽉 차 발을 들이기도 어려울 정도였다. 서울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 가운데 60%를 공공시설에서 처리하는데, 대부분을 건조분말로 만든다. 나머지 40%는 수도권 민간업체가 처리하고 이 가운데 절반가량을 건조분말로 생산한다. 서울 음식물 쓰레기의 약 80%를 건조분말로 재자원화하는 셈이다. 전국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50% 정도를 건조분말로 만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촌진흥청이 유기질비료 업체들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들어가고 합법화 통로인 고시안을 확정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음식물 쓰레기 대란을 부른 꼴이 됐다.

문제는 건조분말 말고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다른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들이 농진청의 고시안 늑장 처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미지 확대
송파구 공공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에서 생산한 ‘펠렛’. 건조분말에 일부 성분을 넣어 압축해 만든 작은 조각으로 비료용 제품이다.
송파구 공공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에서 생산한 ‘펠렛’. 건조분말에 일부 성분을 넣어 압축해 만든 작은 조각으로 비료용 제품이다.
과거엔 음식물 쓰레기를 습식사료로 썼지만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우려 등으로 설 자리를 잃었다. 2017년 닭과 오리 등에 음식물 쓰레기 습식사료를 주는 게 금지됐다. 최근엔 음식물 쓰레기를 동물 사료로 주는 것 자체를 금지하는 입법 발의도 진행 중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관계자는 ‘음식물 쓰레기 비료가 안전하지 않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비닐을 걸러낼 수 있는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안전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처리시설 업체들은 서둘러 고시안을 확정하지 않으면 2013년 음식물 쓰레기 수거 거부 사태 때보다 더 큰 위기가 올 것이라고 전했다. 송파구 처리시설 관계자는 “2013년 ‘쓰레기 대란’ 때는 적어도 공공처리시설에는 문제가 없었다”며 “하지만 이번엔 민간·공공 시설 모두 위험 수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민간·공공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업계는 12일 농진청 고시안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연다.

글 사진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19-03-1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