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집배원들이 중심이 된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사상 첫 총파업을 예고했다. 과로사를 근절하기 위한 인력 증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우편·택배 업무를 중단하겠다는 것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예산 부족 탓에 추가 인력 채용이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총파업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13일 우정노조는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1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다”며 “집배원 인력 증원과 완전한 주 5일제 도입을 위한 총파업 수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집배원들은 쟁의조정에서도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다음달 9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노사가 가장 첨예하게 맞붙은 것은 집배원 충원이다. 우본과 노조는 지난 4월 12일부터 이달 10일까지 7차례 실무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접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 측은 지난해 10월 긴급노사협의에서 우본이 약속한 집배원 1000명 증원을 집행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앞서 노사정이 참여한 ‘집배원 노동조건 개선 기획단’은 집배원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서는 총 2000명을 증원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양측은 올해 우선 1000명을 증원한다고 잠정 합의했다.
이동호 우정노조위원장은 “우본이 경영위기 책임을 집배원에게만 전가하고 있다”며 “올해에만 집배원 8명이 과로사와 안전사고로 사망했다”고 말했다. 여기에 노조 측은 모든 집배원이 토요일에는 근무를 하지 않는 완전한 주 5일 근무제 도입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우본은 올해 우편사업 적자가 2000억원가량 예상되는 상황에서 추가 채용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지난해 말 국회에서 1000명 증원을 위한 예산안마저 통과되지 않으면서 우본의 운신 폭이 더욱 좁아진 상태다.
우본 관계자는 “행정안전부 조직 진단 결과를 보고 증원 여부를 결정하자는 의견이 있었다”며 “우선 집배원을 근무량에 따라 재배치해 격무에 시달리는 집배원의 부담을 덜겠다”고 밝혔다.
한편 노조는 금융사업 이익금 중 일반회계로 전출되는 부분을 우편사업 적자를 메우는 데 쓰자는 입장이지만,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9-06-1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