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앞두고 교육 당국과 노조 막판 협상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앞두고 교육 당국과 노조 막판 협상

곽혜진 기자
입력 2019-07-02 10:46
업데이트 2019-07-02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광주지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3일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2019.7.1 뉴스1
광주지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3일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2019.7.1 뉴스1
교육당국과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로 예정된 총파업을 하루 앞두고 막판 협상을 벌인다.

교육부와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에 따르면 교육 당국과 연대회의 실무교섭단은 2일 오후 1시쯤 서울 서초구 모처에서 만나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교육부와 17개 교육청이 전날 부교육감 회의 결정에 따라 연대회의에 긴급 협상을 제안하면서 이날 양측 만남이 성사됐다.

이번 협상을 통해 양측의 입장차를 확인하고 총파업의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로의 입장차를 얼마나 좁힐 수 있을지 확인하고 내일부터 시작될 총파업을 철회하거나 규모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없는지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9급 공무원 임금의 80% 수준’으로 임금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기본급을 6.24% 인상하고, 이 밖의 다른 수당에서도 정규직과의 차별을 해소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교육공무직을 초중등교육법상 교직원에 포함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그러나 교육부와 17개 교육청은 지난달 27일 교섭에서 기본급을 1.8% 올리되 다른 요구사항은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연대회의 조합원은 9만 5000여명으로 전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의 66%를 차지한다. 조합원 가운데 5만여명이 3일부터 사흘간 진행될 총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파업에 참여하면 급식과 돌봄교실은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교육계와 노동계에서는 이번 파업에 민주노총 공공부문 노조들이 연대한 만큼 철회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교육 당국은 협상이 결렬돼 총파업이 진행될 경우 지역별·학교별로 급식·돌봄 등에 관한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급식은 우선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직원을 동원할 계획이다. 불가피한 경우에는 학교에서 도시락·김밥·빵 등 대체 급식을 제공하기로 했다. 초등학교 돌봄교실의 경우에도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교직원을 중심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