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누리양 발견 일등공신 박 원사와 군견 달관이

조은누리양 발견 일등공신 박 원사와 군견 달관이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19-08-02 23:57
수정 2019-08-03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달관이가 발견하고 박 원사가 조 양 업고 하산

조은누리양을 발견한 육군 32사단 기동대대 박상진 원사와 군견 달관이. 연합뉴스
조은누리양을 발견한 육군 32사단 기동대대 박상진 원사와 군견 달관이. 연합뉴스
군견 달관이 활약에 과거 탈영 흑역사(?) 재조명
조양 어머니 “다음 생에서라도 은혜 갚고 싶다”
문 대통령 “가족에 위로…무사히 돌아와 고맙다”



충북 청주의 한 야산에서 실종됐던 조은누리양(14)이 11일 만에 기적적으로 발견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조은누리양을 가장 먼저 발견한 것은 군견 달관이(7살·수컷 셰퍼드). 달관이는 2일 오후 2시 35분 야산 중턱의 한 바위 위에 앉아 구조 대상자를 발견했을 때 하는 ‘보고 동작’을 취했다.

육군 32사단 기동대대 박상진(46) 원사는 달관이가 동작을 취한 곳에서 약 3m 떨어진 바위 구석에 조은누리양이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박 원사는 “쪼그린 채 앉아있는 은누리양을 보고 ‘조은누리니?’라고 묻자 조양이 ‘네’하고 대답했다”면서 “가슴이 벅찼다”고 말했다.

박 원사는 군복을 벗어 조양에게 입혀주고 김 일병과 함께 조양을 번갈아 업고 약 700m 길을 하산했다. 구조요청을 받고 도착한 119구급대가 조양을 충북대병원으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었다. 충북대병원에 따르면 조양의 건강 상태는 양호하다.

박 원사는 “기동대대는 적이 침투했을 때 수색·정찰을 통해 적군을 찾아내고 격멸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며 “평소 군견과 함께 비슷한 훈련을 많이 했기 때문에 임무를 완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탈영(?)했다 생포된 달관이 2살 시절
탈영(?)했다 생포된 달관이 2살 시절 28일 오전 11시 58분 충남에서 강원도 춘천의 제1군견교육대로 이동중이던 군견 달관이(흑색 셰퍼드·2)가 충북 중부고속도로∼강원 영동고속도로 구간에서 사라졌다 하루만에 생포됐다. 2014.2.28
달관이는 각종 기동 훈련과 군견 경연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군견 보수교육에 참여해 2014년부터 2차례 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원사는 “탈진한 조양을 조금이라도 더 늦게 발견했다면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었다”면서 “일주일 동안 달관이와 산속을 헤매면서 힘도 많이 들지만, 조양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낼 수 있어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달관이의 활약이 알려지면서 흑역사(?)까지 화제를 모으고 있다. 달관이는 2살이던 2014년 2월 28일 군견교육대로 입교하는 길에 탈출해 하루 만에 생포댔다.

육군에 따르면 육군 32사단 소속이던 달관이는 강원 춘천의 제1군견교육대로 입교하기 위해 이동하던 중 중부고속도로(남이분기점)과 영동고속도로(문막휴게소) 구간에서 사라졌다. 군용 차량의 철망을 뜯고 탈출한 것이다.

달관이의 탈영(?)은 하루만에 끝났다. 주민 신고로 달관이 위치를 확인한 육군은 이튿날 오전 11시 50분 충북 증평 IC 근처 음식점 뒤편 야산에서 달관이를 생포했다.

이미지 확대
‘기적의 생환’
‘기적의 생환’ 지난달 23일 청주에서 가족 등과 등산하러 갔다가 실종된 후 열흘만에 기적처럼 생환한 조은누리(14)양이 2일 오후 4시 55분께 충북대병원 응급실로 옮겨지고 있다. 수색에 나섰던 군부대는 이날 오후 2시 40분께 청주시 가덕면 무심천 발원지 위쪽으로 920m가량 떨어진 곳에서 조양을 발견했다. 2019.8.2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딸의 무사귀환을 간절히 기도하는 조은누리양 어머니. 연합뉴스
딸의 무사귀환을 간절히 기도하는 조은누리양 어머니. 연합뉴스
조양의 어머니 A(44)씨는 오매불망 기다리던 딸의 생존 소식을 듣자마자 “어떡해 어떡해”라는 말을 반복하며 울음을 터뜨렸다. 딸과 재회한 A씨는 “모든 분 덕분에 딸이 무사히 돌아올 수 있어서 너무나 감사한 마음”이라며 “이번 생에 안되면 다음 생에서라도 은혜를 꼭 갚고 싶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네티즌들 역시 “정말 눈물겹다. 군·경 구조대 모든 분 고생하셨다. 학생 빨리 쾌차해 훌륭한 인재가 되기 바란다”, “견생 달관한 군견 ‘달관’에게 영광스러운 전역과 함께 연금으로 매달 평생 살점이 붙어있는 뼈다귀를 지급할 것을 명한다” 등 응원의 목소리를 보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저녁 페이스북에 “온 국민이 애태웠다. 일분일초가 안타까웠을 부모님과 가족들께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며 “조은누리 양, 무사히 돌아와 고맙다”라고 글을 남겼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