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선호는 23%…“모든 직업·연령·지역에서 ‘정시 바람직’이 대다수”
![4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시험을 보고 있다. 2019.9.4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4/SSI_20190904092727_O2.jpg)
연합뉴스
![4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시험을 보고 있다. 2019.9.4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4/SSI_20190904092727.jpg)
4일 오전 서울 마포구 상암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시험을 보고 있다. 2019.9.4
연합뉴스
연합뉴스
특히 학생과 20대는 70% 이상이 ‘정시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tbs가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대입 제도에 대한 여론을 4일 조사해 5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501명 중 63.2%가 ‘정시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수시가 보다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2.5%였으며 나머지 14.3%는 ‘모른다’라거나 응답하지 않았다.
특히 19∼29세 응답자 중 72.5%가 ‘정시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답해 젊은 층에서 정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30대 67.3%, 50대 65.3% 순으로 정시 선호도가 높았다.
직업별로는 학생 응답자(26명) 가운데 73.5%가 ‘정시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서울(69.9%)과 대전/세종/충청(66.4%), 광주/전라(65.8%), 경기/인천(65.1%)에서 정시를 선호하는 의견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5명이 응답한 제주에서는 84.6%가 ‘정시가 더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리얼미터측은 “모든 직업·연령·지역·이념성향·정당지지층에서 ‘정시가 보다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대다수였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