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 수사 본격화…“유류품 국과수 보내”

대구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 수사 본격화…“유류품 국과수 보내”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10-07 14:15
업데이트 2019-10-07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경찰청장 “범위 한정 않고 수사”…유족 재수사 주장 수용 움직임

‘장기미제’ 화성연쇄살인마 검거에 경찰 의욕
“최근 제보 23건 접수”
과학수사로 단서 찾나
실종 13년만 ‘개구리소년’ 분향소
실종 13년만 ‘개구리소년’ 분향소 오는 26일 장례식을 앞둔 ‘개구리소년’ 5명의 합동분향소가 실종 13년만에 경북대병원 영안실에 마련됐다.
2004.3.24
서울신문DB
국내 3대 장기 미제 사건으로 꼽혔던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진범 이춘재가 경찰의 끈질긴 추적 속에 결국 꼬리가 잡히면서 또 다른 미제 사건인 대구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 해결에도 경찰이 의욕을 보이고 있다. 해당 사건을 관할하는 대구지방경찰청은 최근 피해자 유류품 수십점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정밀 감정을 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과학수사 기법이 크게 발전하면서 범인을 잡을 새로운 단서들을 도출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린다.

송민헌 대구지방경찰청장은 7일 기자간담회에서 “보존해둔 유류품 수십여 점을 지난달 25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냈다”면서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1차 감정 결과를 보고 집중적으로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송 청장은 또 “최근 관련 제보 23건이 접수됐다”라면서 “당사자를 통해 사건 당시 이야기를 들었다는 내용부터 이러한 방식의 수사를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까지 다양하다”라고 말했다.

개구리 소년 사건과 관련해 국과수가 마지막으로 조사를 한 것은 2002년이다. 경찰은 세월이 흘러 과학수사 기법이 고도로 발달한 만큼 유의미한 결과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개구리소년 유골 확인작업
개구리소년 유골 확인작업 개구리소년 유골 확인작업 2002.09.29
서울신문DB
개구리소년 유골 확인작업
개구리소년 유골 확인작업 개구리소년 유골 확인작업 2002.09.29
서울신문DB
개구리소년 두개골 사진
개구리소년 두개골 사진 개구리소년들의 타살 추정에 중요한 근거로 제시된 우철원군 머리의 외상. 법의학팀은 25군데의 외상 흔적 가운데 끝이 사각형 모양인 예리한 물건에 의해 찍힌 흔적이 10여군데 나타났다”고 밝혔다 2002.11.12
서울신문DB
대구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은 1991년 3월 26일 실종 당시 9~13세이던 성서국민학교(현 초등학교) 소년 5명이 대구 달서구에 있는 와룡산으로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고 나간 뒤 집단 실종됐다. ‘개구리 소년’이라는 명칭은 도롱뇽이 흔한 개구리로 와전돼 붙여진 것으로 알려진다.

당시 경찰은 연인원 50만명을 동원해 수색에 나섰지만 끝내 단서를 찾지 못했고 11년 6개월 만인 2002년 9월 26일 와룡산 중턱에서 암매장된 소년들의 유골이 발견됐다. 이 사건은 2006년 3월 25일 공소시효가 끝나면서 영구 미제 사건으로 남았다.

경찰은 소년들이 묻힌 곳 바로 옆이 육군 사격장이었으며, 이러한 사실을 포괄해 재수사를 해야 한다는 유족들의 주장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당시 국과수 감정 결과 옷가지나 유골 등에서 탄흔이 검출되지는 않았다.

송 청장은 “유족들이 의구심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충분히 의심할 만하다고 보며 면밀히 소홀하지 않게 챙겨보겠다”고 말했다.
개구리소년 유골 감식작업
개구리소년 유골 감식작업 개구리소년들의 유골이 발견된 현장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법의학자들의 감식작업을 벌이고 있다. 2002.9.27
대구=연합뉴스
경찰이 국과수에 보낸 유류품에는 외력 흔적이 남은 소년들의 두개골도 포함됐다. 유골 발굴 당시 수사에 참여한 법의학 교수도 이번 수사에 참여하기로 했다.

송 청장은 “두개골 다섯구 중 세 구에서만 외상이 발견됐고 나머지 두 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나머지 둘에게서 외상에 의한 사인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지 그게 타살이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얘기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개구리소년을 찾는 전단지
개구리소년을 찾는 전단지 대구 개구리소년 실종 4년 후인 지난 95년 발행됐던 전단지2002.9.26 대구=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