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3D프린팅산업 중심도시 조성

국내 최대 3D프린팅산업 중심도시 조성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21-02-24 14:30
수정 2021-02-24 1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울산시 24일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개소식
핵심기술 확보·산업적용 확산 등 비전·추진 전략 발표

이미지 확대
울산시청
울산시청
울산시가 국내 최대 3차원(3D) 프린팅산업 중심 도시 조성에 나섰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24일 남구 테크노일반산업단지에서 열린 ‘3D 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개소식’에서 3D 프린팅산업 비전을 선포하고,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울산의 3D 프린팅 산업 비전은 ‘제조 혁신을 주도하는 국내 최대 3D 프린팅산업 중심 도시’다. 3대 추진 전략은 ▲3D 프린팅 혁신 성장 기반 구축 ▲핵심 기술 확보 및 산업 적용 확산 ▲3D 프린팅 저변 확대 및 인력 양성이다.

시는 이 전략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8개 혁신기관 구축, 핵심 기술 확보 및 상용화 100건, 전문 기업 150개사 육성, 일자리 1400개 창출 목표를 추진한다.

시는 9개 세부 과제도 추진한다. 우선 3D 프린팅 기반 구축과 협업 체제 강화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3D 프린팅 산업 발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한다. 의료나 바이오, 에너지 등 고부가 가치 산업에 대해서는 3D 프린팅 특화 분야 기업 지원 시설 확충 사업을 펼친다.

소재·기술·산업별 전문 지원 센터를 운영해 3D 프린팅 전 주기적 기술 지원 기반을 구축한다. 3D 프린팅 소재 국산화와 공급 생태계 확보를 위해 소재 평가 표준 가이드라인을 정립하고, 미래형 자동차 공정 혁신과 부품 기술 개발로 사업성을 확보한다. 3D 프린팅 수요·공급 기업 연계 부품 개발과 사업화도 추진한다.

또 현장 맞춤형 3D 프린팅 전문 인력 양성, 3D 프린팅 표준화 및 인증 지원 체계 강화, 3D 프린팅 관련 기술·정보 보급 및 확산으로 산업 저변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기술을 고도화한다.

송철호 시장은 “3D 프린팅 산업이 국내 최대의 제조업 기반을 갖춘 울산에서 꽃핀다면, 기존 주력 산업과 신산업 모두 큰 경쟁력 강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개소식에서는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건립과 3D 프린팅 산업 육성에 힘쓴 유공자 10명이 시장 표창을 받았다. 또 70여 개 기업과 기관이 함께 3D 프린팅 산업 육성을 위한 공동 선언으로 협력을 다짐했다.

한편 창업 기업 유치와 지원을 담당하는 3D 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총사업비 283억원으로 건립됐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