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다산동 주상복합건물 큰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0/SSI_20210410214449_O2.jpg)
연합뉴스
![남양주 다산동 주상복합건물 큰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0/SSI_20210410214449.jpg)
남양주 다산동 주상복합건물 큰불
10일 오후 경기 남양주시 다산동의 한 주상복합건물에서 불이 나 일대에 검은 연기가 퍼지고 있다. 2021.4.10 (독자 제공)
연합뉴스
연합뉴스
1층 중식당서 발화 추정…대응 2단계 발령
인근 도농역 열차 4시간 넘게 무정차 통과경기 남양주시의 한 주상복합건물에서 10일 발생한 화재로 주민 등 수십명이 연기 흡입 피해를 보고 수백명이 대피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30분쯤 남양주시 다산동의 주상복합건물 1층에서 불이 나 7시간 만인 이날 오후 11시 30분쯤 큰 불길이 잡혔다.
불은 1층에 있는 중식당 주방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불길은 1층 상가와 건물 내 필로티 주차장과 2층 상가 등으로 옮겨 붙었고, 이 과정에서 일대에 다량의 검은 연기가 퍼졌다. 폭발음 같은 굉음도 여러 차례 들린 것으로 전해졌다.
불이 나자 상가와 마트 등에 있던 수백명이 긴급 대피했다.
그러나 상가 위에 있는 아파트 내부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했던 39명이 연기 흡입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20명은 인근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다.
필로티 주차장에 주차돼 있던 차량 20여대가 불이 옮겨 붙어 완전히 탔으며, 이로 인한 열기가 커 소방당국은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산동 주상복합 화재 일대 덮은 검은 연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0/SSI_20210410212927_O2.jpg)
뉴스1
![다산동 주상복합 화재 일대 덮은 검은 연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0/SSI_20210410212927.jpg)
다산동 주상복합 화재 일대 덮은 검은 연기
10일 오후 경기 남양주시 다산동의 한 주상복합건물에서 불이 나 일대에 검은 연기가 퍼지고 있다. 2021.4.10
뉴스1
뉴스1
불이 난 건물 지하에는 대형마트가 입점해 있는 데다 지상 저층에도 상가가 밀집해 있고, 위로는 360여 세대가 사는 18층 규모의 고층 아파트가 있어 소방당국은 한때 바짝 긴장했다.
대응 2단계를 발령하고 헬기 3대를 포함한 장비 약 80대와 인원 약 400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다행히 큰 불길이 잡혔고, 다음날인 11일 오전 0시 10분 현재까지 잔불을 정리 중이다.
불이 나면서 건물 바로 앞에 있는 경의중앙선 도농역에서 이날 오후 4시 44분부터 열차가 무정차 퉁과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운행 정상화는)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가 완전히 빠질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언제부터 정차가 가능할지 아직 예상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남양주 주상복합건물 큰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0/SSI_20210410212832_O2.jpg)
연합뉴스
![남양주 주상복합건물 큰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0/SSI_20210410212832.jpg)
남양주 주상복합건물 큰불
10일 오후 경기 남양주시 다산동 주상복합건물에서 불이 나 일대에 검은 연기가 퍼지고 있다. 2021.4.10 (독자 제공)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편 소방당국 관계자는 이날 오후 9시 현장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최초 불이 난 식당에서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했다”고 밝혔다.
다만 주민들은 화재 발생 직후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고, 대피방송은 물론 화재경보도 늦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현장 소방 관계자는 “불이 난 중식당은 스프링클러가 작동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다만 주상복합건물 내에 설치된 모든 스프링클러가 다 작동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계 당국은 주차장의 차량 내부와 상가 건물 등에 추가 인명 피해가 있는지 파악 중이며,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 등을 조사 중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