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년만의 사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757_O2.jpg)
![41년만의 사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757.jpg)
41년만의 사죄
21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신순용 전 소령이 참배하며 절하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총격과 암매장 등 상황을 구체적으로 증언한 바 있는 신 전 소령은 계엄군 지휘관으로는 최초로 이날 5?18묘지를 공식 참배했다. 2021.5.21 연합뉴스
![5?18 당시 계엄군 지휘관, 묘지 참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813_O2.jpg)
![5?18 당시 계엄군 지휘관, 묘지 참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813.jpg)
5?18 당시 계엄군 지휘관, 묘지 참배
21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신순용 전 소령이 참배하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총격과 암매장 등 상황을 구체적으로 증언한 바 있는 신 전 소령은 계엄군 지휘관으로는 최초로 이날 5?18묘지를 공식 참배했다. 2021.5.21 연합뉴스
![‘늦어서 죄송합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830_O2.jpg)
![‘늦어서 죄송합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830.jpg)
‘늦어서 죄송합니다’
21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신순용 전 소령이 참배하며 방명록에 ‘늦어서 죄송하다’는 내용의 글을 남겼다. 옛 광주교도소 총격과 암매장 등 상황을 구체적으로 증언한 바 있는 신 전 소령은 계엄군 지휘관으로는 최초로 이날 5?18묘지를 공식 참배했다. 2021.5.21 연합뉴스
![계엄군 지휘관의 사죄, 이해의 손 내민 유족](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746_O2.jpg)
![계엄군 지휘관의 사죄, 이해의 손 내민 유족](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21/SSI_20210521183746.jpg)
계엄군 지휘관의 사죄, 이해의 손 내민 유족
21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신순용 전 소령이 사죄의 뜻을 표명하자 김영훈 5?18 유족회장이 손을 잡아 주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총격과 암매장 등 상황을 구체적으로 증언한 바 있는 신 전 소령은 계엄군 지휘관으로는 최초로 이날 5?18묘지를 공식 참배했다. 2021.5.21 연합뉴스
21일 오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3공수여단 11지역대대장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신순용 전 소령이 사죄의 뜻을 표명하자 김영훈 5.18 유족회장이 손을 잡아 주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총격과 암매장 등 상황을 구체적으로 증언한 바 있는 신 전 소령은 계엄군 지휘관으로는 최초로 이날 5.18묘지를 공식 참배했다.
2021.5.21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