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8/25/SSI_2019082515020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8/25/SSI_20190825150202.jpg)
리빙랩은 최근 정부·기업·지역사회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수요자와 현장 중심적 문제해결 방법이다.
2004년 미국 MIT공대 미첼 교수의 주거환경 개선실험에서 시작돼 유럽 등지로 확산됐다.
최근에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삶의 현장을 실험실로 사회문제의 해법을 찾으려는 시도로 발전했다.
‘일상생활 실험실’, ‘수요자 참여형 혁신 공간’ 등으로 불린다.
시민과 지역대학의 교수·학생 등이 함께 일상 속 치안 문제를 발굴해 개선방안과 정책 제안사항을 제시한다. 위원회와 부산경찰청 등 관계 기관에서는 이를 구체화해 정책에 반영하게 된다.
자치경찰위원회는 향후 사업 예산을 확보하는 한편, 시민·부산경찰청·대학 등과 유기적으로 협조해 치안 리빙랩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로 했다.
정용환 자치경찰위원장은 “리빙랩을 자치경찰에 접목하는 것은 모든 치안 행정의 중심에 시민을 두겠다는 뜻”이라며, 자치경찰제의 도입 취지에도 부합하는 시책인 만큼 앞으로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치안 리빙랩은 행정안전부 우수사례로 선정돼 이날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자치경찰협력회의에서 발표한다.
정용환 자치경찰위원장은 “리빙랩을 자치경찰에 접목하는 것은 모든 치안 행정의 중심에 시민을 두겠다는 뜻”이라며, 자치경찰제의 도입 취지에도 부합하는 시책인 만큼 앞으로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