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5일 충북 청주 식약처 집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 처장은 6월에 국내 백신 임상 3상 방법을 정립하고 7월 임상 돌입을 목표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05/SSI_20210505181443_O2.jpg)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5일 충북 청주 식약처 집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 처장은 6월에 국내 백신 임상 3상 방법을 정립하고 7월 임상 돌입을 목표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05/SSI_20210505181443.jpg)
김강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5일 충북 청주 식약처 집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 처장은 6월에 국내 백신 임상 3상 방법을 정립하고 7월 임상 돌입을 목표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김강립 식약처장은 8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답하면서 “신속하고 철저하게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질의에서 강 의원은 정부가 선구매하기로 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가 국내에 도입되기 위해서는 식약처에서 빠르게 승인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현재 정부는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상황을 보면서 각 제약사와 구매를 협의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MSD가 개발 중인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 승인을 검토 중이다.
경구용 치료제 구매 예산은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168억원이 배정됐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194억원이 편성돼 총 362억원이다. 질병관리청은 앞서 올해 추경 예산에 1만 8000명분, 내년 예산안에 2만명분에 대한 치료제 구매비용을 반영했다고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