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세계적 이차전지 거점도시 도약”

울산시 “세계적 이차전지 거점도시 도약”

박정훈 기자
박정훈 기자
입력 2021-10-13 11:34
수정 2021-10-13 11: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울산시 사용 배터리 산업화 센터 착공… 전지산업 육성 전략 발표

이미지 확대
울산 남구 테크노파크일반산단내 전기차 사용 배터리 산업화센터 위치도. 울산시 제공.
울산 남구 테크노파크일반산단내 전기차 사용 배터리 산업화센터 위치도. 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전지 제조부터 폐전지 재활용까지 전지산업 전주기를 지원하는 전기차 사용 배터리 산업화센터를 구축한다. 또 차세대 성장동력인 전지산업 육성을 위한 6대 전략도 마련하는 등 세계적인 이차전지 거점도시 도약을 위해 힘찬 시동을 걸었다.

울산시는 13일 남구 두왕동 테크노일반산단에서 전기차 사용 배터리 산업화센터를 착공했다고 밝혔다.

산업화센터는 부지면적 8643㎡에 2층(1485㎡) 규모로 내년 초 준공될 예정이다. 산업화센터는 전지 계측실과 전극 제조실·실험실·조립 및 분석실 등을 갖춘다. 이곳에서는 전기차에서 나온 폐전지를 수거해 분해·선별·평가·재조립 과정을 거쳐 재활용하는 사업을 벌인다.

울산시는 또 함께 이날 전지제조부터 응용과 재활용까지 전지산업 전주기를 종합지원하는 ‘전지산업 6대 육성전략’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시는 울산테크노파크 등 3개 기관, 지역 내 이차전지 관련 15개 기업과 함께 ‘울산 전지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6대 전략은 차세대 고성능 전지 사용화 기술개발, 미래형 전지 특화 강소연구개발특구 운영,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중·대형 이차전지 성능평가 및 인증 지원 등을 담고 있다.

울산시는 2030년까지 이차전지 전주기 종합 지원기반을 만들고, 강소기업을 유치해 연간 2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국내 1위의 전기차 생산기반을 활용해 울산을 세계적인 이차전지 거점도시로 육성하고 일자리도 늘리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