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감염병 관리 정부 정책은 실패”

“장애인 감염병 관리 정부 정책은 실패”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1-12-02 22:28
수정 2021-12-03 0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장애인보다 코로나 사망률 6배 높아
‘위드 코로나’ 시행에도 장애인 정책 빠져
오늘 세계 장애인의 날 맞아 곳곳 집회

입을 제외하고는 혼자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1급 신체장애인 권모(48)씨는 지난 7월 코로나19 확진을 받았다. 권씨는 응급실에서 곧장 요양전담병원으로 이송됐다. 권씨의 병명은 노나카근육병으로 주기적으로 몸을 움직이지 않으면 근육이 끊어지는 극심한 고통이 느껴지는 병이다.

권씨는 2일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아무도 도와주지 않은 적도 있다”면서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죽다 살았구나 싶다”고 토로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최고치를 찍고 있는데도 장애인에 대한 정부 대책은 미비한 실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장애인 감염병 매뉴얼을 발표했지만 코로나19에 대한 장애인의 취약도는 여전히 높아 정부가 장애인의 감염병 관리에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지난 1~10월 확진자의 기초역학조사서를 집계한 결과를 보면 전체 확진자 28만여명 중 장애인 확진자의 비율은 3487명으로 약 1.23%에 달했다. 비장애인 확진자의 사망률은 0.44%인 반면 장애인 확진자 중 사망률은 2.61%로 약 6배 높았다.

전문가들은 장애인이 앓고 있는 기저질환 때문에 사망률이 높은 탓도 있지만 그 이전부터 지속된 사회구조적인 문제라고 지적한다.

박주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건강권위원회 활동가는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을 시행하면서도 장애인 관련 정책은 빠져있다”면서 “정부가 장애인의 코로나19 건강권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장애인의 날(12월 3일)을 하루 앞둔 서울 곳곳에서는 장애인권의 보장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장애인단체들은 장애인 인권 보장을 촉구하며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1박2일 집회를 이어간다.
2021-12-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