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4/SSI_20211214004353_O2.jpg)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4/SSI_20211214004353.jpg)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 회장
이 회장은 결혼한 지 2년 만인 1942년 11월 남편과 생이별했다. 남편은 당시 해군 군속으로 남태평양 전선에 강제 동원됐다. 남편은 이후 생후 8개월 된 아들을 남겨 둔 채 소식이 끊겼다. 3년 뒤인 1945년 4월쯤 전사통지서를 받았다. 이 회장은 이때부터 남편의 원한을 풀기 위해 일본의 전쟁범죄를 규탄하고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해 앞장섰다. 그는 1988년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를 결성한 뒤 초대 회장을 맡아 30여년간 일제 피해자들의 인권회복 운동을 주도했다.1992년엔 피해자 1273명이 참여한 ‘광주 천인소송’을 시작으로 귀국선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 위안부·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 등이 참여한 ‘관부 재판’ 소송 등 7건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일본 사법부에 제기했지만 모두 패소했다.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소송은 2008년 일본 최고재판소에서 패소했지만, 양금덕 할머니 등 일본 소송 원고들이 2012년 10월 광주지법에 소송을 제기해 2018년 11월 29일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됐다. 일제 피해자들의 권익을 위해 헌신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빈소는 광주 천지장례식장이며, 15일 발인을 마치고 순천시립공원묘지에 안장된다.
2021-12-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