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수 기자의 지방을 살리는 사람들] <3> 전북 고창
스타 건축가 유현준 교수가 말하는지방 공공건축의 문제 세 가지
유현준 교수
100m에 가까운 기다란 박공지붕을 얹은 고창도서관이 오는 3월 착공돼 2년 뒤 완공되면 사람을 불러모으는 건축의 힘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타 건축가인 유현준(53) 홍익대 교수는 큰 나무 아래서 책을 읽는 느낌을 내고자 도서관을 목구조로 설계하고, 단일 건물로는 가장 긴 지붕에 태양광 전지를 얹었다. 고창도서관은 2층 건물이지만 비대칭적인 지붕이 내는 착시효과로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살렸다.
전남 신안군 압해읍 마을복지관은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하늘을 천장으로 두고 중정의 징검다리 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어 ‘인생샷’을 건지는 곳으로 유명하다. 신안복지관에 이어 고창도서관도 유 교수가 설계한 지방 공공건축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유 교수는 “건물 하나로 지방이 확 바뀌려면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처럼 돼야 한다”면서 “멋있는 건물을 짓는 것보다 어떤 프로그램의 건물을 짓겠다는 기획이 성공적이어야 지방 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그동안 지방 공공건축은 중앙 정부에서 예산을 나눠 주면 무작정 나눠 먹기 식으로 짓는 경우가 많아 생각 없는 건물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고창도서관 설계도. 출처:유현준 건축사무소
지방 공공건축의 문제로 유 교수는 크게 세 가지를 꼽았다. 건축가가 공사 과정에서 관리 감독을 하는 감리에 참여할 수 없고, 건축 설계 선정 과정도 공정하지 않으며, 좋은 설계가 나오더라도 시공사가 하청에 재하청을 주면서 완성도 있는 건물이 나올 수 없는 구조다. “설계를 선정할 때 공정하지 않으니 훌륭한 건축가는 아예 출품을 잘 안 하려 들고, 천우신조로 좋은 설계가 뽑혀도 설계사가 감리를 못 해 의도했던 수준대로 건물이 지어지지 않는 경우가 99%”라고 지적했다. “서울의 건축가가 지방 건축 설계에 당선됐지만 여러 가지 문제로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예를 들어 유 교수가 설계했던 신안복지관도 공사 막판에 보완할 일이 많은데 감리를 직접 못하니 시공사에서 공사비를 아끼고 편하게 작업하려 설계에 없던 기둥을 세웠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지방 공공건축의 설계 선정, 감리, 시공 시스템을 고치면 좋은 건축이 10년 내로 몇백 개가 나올 텐데 지금은 기적을 바라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