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20일 구룡마을 화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25/SSC_20230125180118_O2.jpg)
![2023년 1월 20일 구룡마을 화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25/SSC_20230125180118.jpg)
2023년 1월 20일 구룡마을 화재
지난 20일 오전 6시 27분쯤 화재가 발생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599-2, 구룡마을 4구역 인근에 최초 화재가 발화된 모습. 최초 신고자인 주민이 찍어서 강남소방서에 영상과 사진을 제공했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지구 화재현장에 차려진 ‘구룡마을 화재민 비상대책본부’에서 만난 이모(69)씨는 25일 서울신문과 만나 잿더미가 된 집을 바라보며 한숨을 쉬었다. 지난 20일 화마로 집을 잃은 이씨는 화재 사고를 수습하다보니 이번 설 명절에는 고향에도 내려가지 못했다.
이씨는 최초 화재 발화 지점을 가리키면서 “연탄불이 제대로 꺼지지 않아 화재가 난 것 같다”면서 “앞집 사는 아이가 야간 근무를 마치고 집에 들어오면서 화재를 목격했고, 119에 영상을 찍어 신고했다”고 말했다.
![2023년 1월 20일 구룡마을 화재 최초 발화 지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25/SSC_20230125180119_O2.jpg)
![2023년 1월 20일 구룡마을 화재 최초 발화 지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25/SSC_20230125180119.jpg)
2023년 1월 20일 구룡마을 화재 최초 발화 지점
지난 20일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지구에서 일어난 화재로 집을 잃은 이모(69)씨가 서울신문 기자와 만나 최초 발화 지점을 가리키고 있다.
이재민 62명은 강남구가 제공한 임시 거주 시설 4곳에서 흩어져 살고 있다.
화재로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들은 공공개발이 끝날 때까지 서울 송파구와 위례신도시에 있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 공공임대주택로 이주해 살 수 있지만, 이들에게는 월 30~40만원가량의 임대료조차 큰 부담이다. 주민들은 화재 현장이 정리가 되면 다시 집을 짓고 살고 싶어하지만, 개발 주체인 SH는 엄동설한에 고령의 주민들을 노숙하게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1988년부터 35년째 혼자서 구룡마을에서 살고 있는 김모(76)씨는 ‘공공임대주택 이주계획이 있냐’고 묻자 임대료가 부담된다고 했다. 김씨는 “여기 살면 기부 받은 연탄 떼고 살면 되는데 난방비에 관리비에, 월 임대료 30~40만원을 부담해야 한다”면서 “한달 30~40만원이면 나 혼자 먹고살 수 있는 생활비”라고 말했다. 그는 “비 안새고 물 있고, 전기 들어오는 이곳이 깔끔한 아파트와 뭐가 다르냐”면서 “지금 당장 나가서 서울시에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등을) 깎아달라고 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구룡마을 화재는 2009년부터 최소 16차례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3월에도 발생한 화재로 11채가 소실됐고, 2017년 3월에도 주택 29채가 불에 탔다. 2014년 11월에 난 화재는 63가구를 태우고 주민 1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