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관련 이미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0/SSC_20230220060700_O2.jpg)
![챗GPT 관련 이미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0/SSC_20230220060700.jpg)
챗GPT 관련 이미지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국경을 넘나드는 범죄가 늘어나면서 우리나라에서 외국으로 보내는 공조 요청은 2017년 1250건에서 지난해 1832건으로 크게 늘었다. 경찰청 인터폴국제공조과에서 생산한 관련 영문서는 지난해 3205건으로, 1인당 약 400건에 달한다. 일선 경찰서에서 국제공조 관련 영문서를 작성하면 경찰청 인터폴국제공조과는 해당 문서를 수정·보완해 해당 국가로 보낸다. 경찰청은 일선 경찰서에서 챗GPT를 활용해 관련 문서를 작성하면 업무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챗GPT의 활용성과 보안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한 명령어를 입력하면 전문성·가독성 있는 영문 초안을 추출할 수 있어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예컨대 챗GPT에 ‘전세 사기 범죄의 수사 결과 보고서 영문 작성’을 입력하면 19초 만에 결과물이 도출됐다.
보안성과 관련해서도 챗GPT는 별도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 외부망에 접속해 이용하기 때문에 정부 지침 등 통신보안에도 위배사항이 없는 것으로 경찰은 판단했다. 영문서 초안인 만큼 개인정보나 수사 정보 등은 입력하지 않도록 해 AI에 정보가 저장되는 우려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경찰청 관계자는 “일선에서 ‘챗GPT’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입력 명령어 등을 추린 이후 이르면 다음 달 초쯤 지침 형식으로 공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