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에서 백제 한성기 ‘돌로 쌓은’ 고분 5기 확인

세종시에서 백제 한성기 ‘돌로 쌓은’ 고분 5기 확인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3-03-22 10:26
업데이트 2023-03-22 1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발 약 109m, 구릉 정상부’ 위치
차별된 고분 “독자적 세력 존재 추정”

이미지 확대
백제 한성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돌로 쌓아 만든 석곽. 세종시 제공
백제 한성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돌로 쌓아 만든 석곽. 세종시 제공
세종시 산업단지 조성 예정지에서 백제 한성기에 고고학적 풍습과 유력한 지방 세력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고분 5기가 발견됐다.

이번에 확인된 고분은 과거 행정중심복합도시 권역에서 발굴된 고분과 약 20㎞가 떨어진 지역으로, 그 규모와 형태도 달라 학계 등이 주목하고 있다.

세종시는 22일 문화재청과 ‘스마트그린 일반산단 조성’ 예정지인 전의면 읍내리 일원에서 발굴조사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총 5기의 고분은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해발 약 109m 높이의 구릉 정상부에 있었다. 중앙에 가장 큰 규모로 조성된 1호분은 최대 추정 규모가 직경 약 58m, 높이 약 6m다.
이미지 확대
1호분과 2~5호분 전경. 세종시 제공
1호분과 2~5호분 전경. 세종시 제공
구조는 하나의 무덤 봉분 내 다수의 매장시설을 둔 방식으로, 돌로 쌓은 거대한 봉분(적석분) 내부에 관과 부장품을 넣기 위해 만든 목관(곽) 5기, 석곽 10기 등의 매장시설을 갖췄다.

고분은 총 5기가 확인됐으며, 1호분 봉분 안에는 약 14기의 매장시설을 두고 있다. 2~5호분은 1호분에 연접해 조성된 직경 20m, 높이 2.5m 내외의 작은 규모다. 1호분과는 달리 흙을 이용해 봉분을 쌓아 올렸으며, 소수의 매장시설(2~6기)을 갖춰 1호분보다 낮은 위상으로 보인다.

세종시는 매장시설, 부장품 등으로 미뤄볼 때, 4~5세기경에 축조된 것으로 파악했다.

5기의 고분 외에도 구릉의 남사면 아래쪽에서 고분으로 올라가는 진입로로 추정되는 구상 적석유구와 더불어 수혈주거지 29기 등이 확인됐다.

세종시 관계자는 “봉분이 돌로 쌓아 만들어졌다는 점과 이 지역 일대에서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백제 한성기 고분이란 점은 역사적 가치가 클 것”이라며 “차별화된 고분은 독자적 세력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세종 이종익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