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성 IPCC 의장 “한국, 탄소중립 유리…어떤 에너지 믹스든 탄소 배출 최소화해야”

이회성 IPCC 의장 “한국, 탄소중립 유리…어떤 에너지 믹스든 탄소 배출 최소화해야”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3-27 18:17
업데이트 2023-03-27 1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브리핑하는 이회성 IPCC 의장
브리핑하는 이회성 IPCC 의장 브리핑하는 이회성 IPCC 의장
(서울=연합뉴스) 이회성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이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의 시사점에 대한 언론 보고회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2023.3.27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끝)


“산업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우리나라는 기술 문제만 해결된다면 탄소 중립에서 앞장설 수 있습니다.”

이회성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이 2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의 시사점을 설명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IPCC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표면온도가 1.5도 이상 오를 것으로 우려하면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년 대비 43% 감축하는 것과 2050년 탄소 중립(넷제로)을 목표를 제시했다.

이 의장은 “산업화 이후 평균 온도가 1.1도 오른 건 인간으로 인한 이변”이라면서 “(상승 폭이) 1.5도를 0.1도라도 일시적으로 넘어서는 ‘오버슈트’가 나타나면 다시 돌아오더라도 불가역적 기후 변화와 피해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IPCC가 앞으로 10년을 지구 생태계를 지킬 ‘골든타임’으로 보고, 세계 탄소 배출량이 2025년 정점을 찍고 감소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이 의장은 “2050년 탄소 중립을 달성하려면 매년 7%씩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하는데, 그러면서도 경제가 2~3%씩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했음에도 탄소 배출량이 늘어나는 나라들이 있는데, ‘내년부터 탄소 배출을 7%씩 줄이겠다’고 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정부안’에 대해선 구체적인 평가를 아끼면서 “한국의 기술 개발 능력은 세계가 감탄할 수준으로 탄소 중립 달성에 유리하다”고 했다. 정부는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계 감축량을 줄이고, 신기술이나 국외 사업 등을 통한 감축을 확대하기로 했다.

원자력 발전 비중을 높이는 데 대해 이 의장은 “각국 상황이 달라 IPCC는 기술이나 정책에 대해 중립적”이라면서 “원전이든, 수소든 어떤 에너지를 믹스하든 탄소 배출을 최소화해 2050년 넷제로를 달성해야 한다”고 했다.

오는 7월이면 8년 임기를 마무리하는 이 의장은 “공포심만으론 기후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기에 6차 보고서는 희망적 메시지를 담았지만, 7차 보고서는 그럴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전 세계적으로 보면 온도 상승을 막는 비용보다 이익이 더 크지만, 개인이나 국가 단위 행동으로 이어질 동기 부여가 되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