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환자 진료 응급의료기관 3곳에 2명 인건비 연간 5억씩 지원.
전담 전문의가 24시간 소아응급환자 전문 진료.
경남도가 24시간 동안 진료 공백 없이 소아응급환자를 돌볼 수 있도록 올해 하반기부터 병원에 전문의 채용 인건비를 지원한다.![경남도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4/SSC_20230604170432_O2.png)
![경남도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4/SSC_20230604170432.png)
경남도청
경남도는 이들 3곳 병원이 소아응급의료를 전담하는 의료인력 2명씩을 채용할 수 있도록 병원마다 연간 5억원씩 모두 1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비는 경남도가 70%, 병원 소재 기초자치단체가 30%를 부담한다.
인건비 지원을 통해 채용되는 소아청소년 전담 전문의는 부족한 전공의 인력을 대신해 응급실에서 24시간 소아응급환자를 진료·치료 한다.
경남도는 소아청소년과 지원 전공의가 지속적으로 줄면서 다른 시도 일부 대형병원에서 소아진료 중단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선제적 조치로 전문의 채용을 위한 인건비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은 24시간 가동하던 소아응급의료체계가 지난 3월부터 전공의 부족으로 오전 0시부터 6시까지는 중증환자만 진료하고 일반 소아환자는 다른 응급의료기관에서 진료받도록 안내한다. 병원측은 지난해 12월부터 소아 전문의 2명을 채용하기 위해 공고를 냈지만 채용을 못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충원율은 2013년 97.4%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16.3%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는 저출생에 따른 소아청소년과 진료수요 감소와 개원의 수입 감소 등이 소아청소년과 전공 기피와 상급병원 진료공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도완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아이와 부모가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24시간 소아응급의료체계 구축을 비롯해 소아응급의료체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