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 편입으로 ‘대구 사과’ 부활 신호탄…재배 면적 등 크게 증가

군위군 편입으로 ‘대구 사과’ 부활 신호탄…재배 면적 등 크게 증가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3-07-11 13:49
수정 2023-07-11 1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진열(중앙) 군위군수와 이지원(왼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장, 황관구 대구·경북능금농협 상무이사가 신품종 여름사과 ‘골든볼’ 생산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군위군 제공
김진열(중앙) 군위군수와 이지원(왼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장, 황관구 대구·경북능금농협 상무이사가 신품종 여름사과 ‘골든볼’ 생산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군위군 제공


한동안 잊혀졌던 ‘대구 사과’가 새롭게 부활할 전망이다.

사과주산지 군위군의 대구시 행정구역 편입으로 대구사과 재배 면적 및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11일 대구시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구지역의 사과 재배면적은 121㏊로 나타났다.

1960년대 초 9523㏊로 전국 사과 재배면적(1만 1467㏊)의 83%에 달했던 것에 비하면 겨우 명맥을 잇는 정도다. 당시만 해도 대구 사과는 과즙이 많고 당도가 높아 인기를 누렸다. 일조량이 풍부하고 비가 적은 대구 기후 때문이었다. 특히 ‘대구 미인=사과 미인’이라는 말이 1980년 중반까지 널리 퍼질 정도로 대구 사과는 명성을 떨쳤다.

그러나 대구의 사과는 이후 산업화와 기후변화 등으로 사과 재배 면적이 급감했다. 급기야 머지않아 대구 사과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 에 따르면 현재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면 2030년쯤이면 대구는 사과 재배 가능지에서 제외된다.

이런 가운데 이달부터 군위군이 대구에 편입되면서 대구 사과 재배면적은 851㏊로 7배 정도 크게 늘어났다. 생산량도 1만 3000t 정도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대구 사과의 전성기에 비하면 초라하지만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리고 있다.

팔공산 북쪽에 위치한 군위는 한여름에도 산 바람 덕분에 서늘해서 사과 재배에 최적으로 꼽히고 있다. 군위군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군위군 소보면 소재)와 손잡고 사과 품종 개량과 브랜드 사업에 나서고 있다. 양 기관은 지난 5월 여름사과 신품종 ‘골든볼’ 생산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군위군은 앞으로 대구시와 대대적인 대구사과 육성 및 홍보 등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화려했던 명성을 되찾을 방침이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군위군이 대구가 다시 한번 일어서는 대구 굴기(崛起·벌떡 일어섬)의 중심에 섰다”면서 “지난 수십년 동안 전국 최고 사과 산지인 군위가 우수한 재배 기술 등을 바탕으로 대구 사과의 옛 명성을 되찾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