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강화 갯벌 등에서 구조한 알 인공부화
비행·사냥·대인기피 등 훈련 마치고 13일 방사

지난해 인공부화된 저어새들이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사냥 훈련을 받고 있다. 국립생태원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과 서울대공원은 13일 인천 강화 선두리 갯벌에서 인공증식한 개체에서 태어난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저어새 3마리를 야생으로 방사했다. 방사한 저어새는 서울동물원이 지난 2016년과 2017년 강화·영종 갯벌에서 구조한 알에서 부화한 개체들이다. 지난해 2월(1마리)과 3월(2마리) 각각 태어난 저어새들은 올해 4월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자연적응훈련장에서 비행·사냥·대인기피 등의 훈련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방사 후 생존 여부와 위치 등을 파악하기 위해 저어새에 가락지와 위치추적기를 부착했다. 저어새는 세계적으로 6600여 마리 밖에 안되는 여름철새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종(EN)으로 지정돼 있다. 해안 갯벌이나 강 하구에서 주로 발견되는 데 우리나라 서해안에 2000여쌍이 서식한다. 국립생태원과 서울대공원은 저어새 복원을 위해 위험에 처한 알 구조와 인공양육, 자연적응훈련 등의 연구를 통해 보전전략을 고도화하고 있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저어새 야생 개체군 관리 연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전 과정을 과학적으로 평가해 멸종위기 야생 조류 개체군 관리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