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뇌 손상으로 기억력, 사고력 등 인지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치매의 원인 중 70% 이상이 알츠하이머로 알려져 있다. 픽사베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18/SSC_20230518001510_O2.jpg)
픽사베이 제공
![치매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뇌 손상으로 기억력, 사고력 등 인지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치매의 원인 중 70% 이상이 알츠하이머로 알려져 있다. 픽사베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18/SSC_20230518001510.jpg)
치매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한 뇌 손상으로 기억력, 사고력 등 인지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상태를 말한다. 치매의 원인 중 70% 이상이 알츠하이머로 알려져 있다.
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1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실종신고 건수는 1만 4527건으로 5년전 보다 20% 가까이 늘었다. 치매 노인 실종 신고는 2018년 1만 2131건, 2019년 1만 2479건, 2020년 1만 2272건, 2021년 1만 2577건이 접수됐다. 올해 상반기에도 실종 신고가 7017건 접수돼 지난 5년 대비 증가세를 보인다.
길을 잃은 치매 환자는 인지능력과 시공간 파악 능력이 저하돼 야산을 헤매거나 배수로에 빠지는 등 사고 위험이 크다.
실제로 지난 3일에는 경북 영양의 80대 치매 노인이 새벽에 집을 나와 실종됐다가 8일만에 숨진 채로 발견됐다. 발견 장소는 집으로부터 불과 800m 떨어진 야산 계곡이었다. 최근 5년간 가출인을 제외한 실종사망자 890명 중 치매 환자 실종 사망자 수는 566명으로 63.6%에 이른다. 실종 사망자 3명 중 2명은 치매 환자인 셈이다.
보건복지부는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연동해 치매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치매 체크 앱 배회 감지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경찰청은 ‘치매 환자 지문 사전등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지문 사전등록 누적 등록률은 35.2%에 불과하다.
조 의원은 “실시간 위치 연동, 지문사전등록 등 고령 치매 환자들의 안전한 귀가를 위한 보호망 강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