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 “내달 중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열어 지구단위계획변경 마무리”
‘신속·공정·투명’ 원칙 따라 인허가 절차와 동시에 지역상생방안 협의도 추진

광주신세계가 신축·이전 사업을 통해 조성하려는 ‘신세계 아트 앤 컬쳐 파크’ 조감도. 광주신세계 제공
광주시는 광주신세계 신축·이전사업의 가장 큰 장애물로 꼽혀왔던 지역 소상공인과의 갈등을 중재, 상생방안을 마련해가면서 동시에 인허가 심의를 병행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 소유 도로 편입에 따른 특혜논란과 교통 혼잡 가중, 2033년 이후 기존 백화점 존치 문제 등 넘어서야 할 과제도 산적해 실제 사업허가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세계 백화점 확장 이전과 관련 “다음 달 중순 정도까지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를 열어 지구단위계획 변경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 시장은 이어 “광주시와 광주신세계, 금호월드관리단과 3자 협의체를 구성, 상생 협의도 함께 진행하겠다”며 “광주시는 도시개발 사업에 대해 제시한 ‘신속·공정·투명’의 3대 원칙에 따라 광주신세계 문제도 풀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언허가를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민원해결을 위한 상생협의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강 시장은 “과거엔 상생 협의가 완료돼야만 인허가가 진행됐는데, 과거 복합쇼핑몰 건립 무산 당시엔 상생 논의가 종료되지 않아서 인허가 절차가 한발짝도 못 나간 경험이 있다”며 “이번엔 다행히 3자 모두 상생 협의에 흔쾌히 동의하고 있어 인허가 과정의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시 관계자는 “지금부터 준비하면 내달 중순 도시건축·공간 공동위원회를 차질없이 개최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 이후에도 교통영향평가, 건축·경관 심의도 남아 있는만큼 행정절차를 마냥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광주신세계는 현 백화점 옆 이마트 부지와 옛 모델하우스 부지를 합쳐 ‘신세계 아트 앤 컬처 파크’를 건립하기로 하고 도시관리 계획 입안을 신청했다.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는 기존 백화점의 구체적인 활용방안 제시, 지하차도 기부채납, 인근 금호월드 포함 주변 민원 적극 해소 등 모두 9개 조건을 내걸어 지난 3월 말 입안에 동의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