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 야외활동철 ‘쯔쯔가무시병’, ‘SFTS’ 주의보···올해 47명 사망

늦가을 야외활동철 ‘쯔쯔가무시병’, ‘SFTS’ 주의보···올해 47명 사망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3-11-28 11:08
수정 2023-11-28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쯔쯔가무시증···전국 3916명 발생, 10명 사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올해 37명 숨져

이미지 확대
강진군보건소가 관내 주민들을 상대로 ‘쯔쯔가무시병’  방지 등  감염병 예방교육을 하고 있다.
강진군보건소가 관내 주민들을 상대로 ‘쯔쯔가무시병’ 방지 등 감염병 예방교육을 하고 있다.
가을철 단풍 구경 등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진드기로 인한 매개감염병인 ‘쯔쯔가무시병’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급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올해들어 쯔쯔가무시병은 18일 현재 전국적으로는 3916명이 발생해 10명이 숨졌다. 경남 742명(18.9%), 전남 682명(17.4%), 충남 588명(15.0%), 전북 506명(12.9%) 순으로 나타났다.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69.2세로 60~70대에서 절반 이상 증상이 나왔지만 50세 미만도 284명(7.3%) 감염됐다. 전남에서는 쯔쯔가무시 환자가 5배, 털진드기 밀도가 3배 이상 나타나는 등 최근 4주 사이 369명이 증상을 보일 정도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도 날씨가 따뜻하면서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순천 주암면에 거주한 A(75)씨가 SFTS에 감염돼 숨지는 등 전남에서는 올해 6명이 이 증상으로 사망했다. 올해들어 전국적으로 195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다 37명이 사망했다. SFTS 증상으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사망자는 총 190명에 이른다. 2018년 46명, 2019년 41명, 2020년 37명, 2021년 26명, 2022년에 40명이 희생됐다.

질병관리청의 역학조사 결과 쯔쯔가무시병과 SFTS는 텃밭작업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을철 산행 등 일회성 야외활동과 농작업, 제초작업, 임산물채취 순을 보였다.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발열, 구토, 복통, 오한 등의 증상을 보인다. SFTS의 경우 치명률이 20%에 달한다. 현재까지 쯔쯔가무시증과 SFTS는 예방접종약이 없다. SFTS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진드기 물림을 예방하는 것만이 최선의 대책이다. 특히 수확 등 야외작업으로 풀숲, 작물 등에 접촉이 빈번한 10월~12월 초 많이 발생한다.

전남도 관계자는 “바깥에서 활동할 때는 긴 옷과 장갑을 착용해 피부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한다”며 “야외활동 후 10일 이내에 검은딱지와 발열 등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꼭 방문해 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