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증···전국 3916명 발생, 10명 사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올해 37명 숨져
![강진군보건소가 관내 주민들을 상대로 ‘쯔쯔가무시병’ 방지 등 감염병 예방교육을 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8/SSC_20231128110812_O2.jpg)
![강진군보건소가 관내 주민들을 상대로 ‘쯔쯔가무시병’ 방지 등 감염병 예방교육을 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8/SSC_20231128110812.jpg)
강진군보건소가 관내 주민들을 상대로 ‘쯔쯔가무시병’ 방지 등 감염병 예방교육을 하고 있다.
올해들어 쯔쯔가무시병은 18일 현재 전국적으로는 3916명이 발생해 10명이 숨졌다. 경남 742명(18.9%), 전남 682명(17.4%), 충남 588명(15.0%), 전북 506명(12.9%) 순으로 나타났다.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69.2세로 60~70대에서 절반 이상 증상이 나왔지만 50세 미만도 284명(7.3%) 감염됐다. 전남에서는 쯔쯔가무시 환자가 5배, 털진드기 밀도가 3배 이상 나타나는 등 최근 4주 사이 369명이 증상을 보일 정도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도 날씨가 따뜻하면서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순천 주암면에 거주한 A(75)씨가 SFTS에 감염돼 숨지는 등 전남에서는 올해 6명이 이 증상으로 사망했다. 올해들어 전국적으로 195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다 37명이 사망했다. SFTS 증상으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사망자는 총 190명에 이른다. 2018년 46명, 2019년 41명, 2020년 37명, 2021년 26명, 2022년에 40명이 희생됐다.
질병관리청의 역학조사 결과 쯔쯔가무시병과 SFTS는 텃밭작업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을철 산행 등 일회성 야외활동과 농작업, 제초작업, 임산물채취 순을 보였다.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발열, 구토, 복통, 오한 등의 증상을 보인다. SFTS의 경우 치명률이 20%에 달한다. 현재까지 쯔쯔가무시증과 SFTS는 예방접종약이 없다. SFTS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진드기 물림을 예방하는 것만이 최선의 대책이다. 특히 수확 등 야외작업으로 풀숲, 작물 등에 접촉이 빈번한 10월~12월 초 많이 발생한다.
전남도 관계자는 “바깥에서 활동할 때는 긴 옷과 장갑을 착용해 피부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한다”며 “야외활동 후 10일 이내에 검은딱지와 발열 등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꼭 방문해 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