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韓성장률 1.5→1.4% 하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3.10.19 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9/SSC_20231129202112_O2.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3.10.19 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9/SSC_20231129202112.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3.10.19 사진공동취재단
올해와 내년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상향하면서 내년까지 기준금리가 현 수준인 3.5%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2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이런 내용의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OECD는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1.4%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9월 발표한 전망치(1.5%)보다 0.1% 포인트 낮은 것으로 정부(1.4%), 한국은행(1.4%), 국제통화기금(IMF·1.4%) 등 다른 주요 기관과 동일한 수치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예상해 종전 전망치(2.1%)보다 0.2% 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정부는 내년 중국 성장률 전망치가 4.6%에서 4.7%로 상향 조정되고 최근 반도체 경기 회복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다만 2025년 성장률은 2.1%로 제시해 내년(2.3%)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봤다.
![독일 함부르크 항에 적재된 컨테이너(위 기사와 관련 없음).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9/SSC_20231129202114_O2.jpg)
![독일 함부르크 항에 적재된 컨테이너(위 기사와 관련 없음).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9/SSC_20231129202114.jpg)
독일 함부르크 항에 적재된 컨테이너(위 기사와 관련 없음). 로이터 연합뉴스
상방 요인으로는 예상보다 강한 세계 경제의 성장세 등을, 하방 요인으로는 전세계 금융 시장 불안에 따른 가계·기업 부채 부담 증가 등을 언급했다.
OECD는 올해 물가 상승률을 3.6%로 예상해 종전 전망치(3.4%)보다 0.2% 포인트 높게 잡았다.
내년 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2.6%에서 2.7%로 0.1% 포인트 높였다. 이는 주요 20개국 평균치(5.8%)와 OECD 회원국 평균(5.3%)을 하회하는 것이다.
OECD는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내년 하반기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기준금리는 지난 1월 3.5%로 오른 이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기준금리는 2025년에 2.5%까지 점차 인하될 것이라는 게 OECD의 전망이다.
한편 OECD는 각국의 긴축 통화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은 완화하고 있지만 글로벌 무역 위축 등 성장세는 둔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올해와 2024년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각각 2.9%와 2.7%로 제시했다.
지난 9월 전망치에 비해 올해 성장률은 0.1% 포인트 떨어졌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그대로 유지됐다.
OECD는 “긴축 금융, 무역 성장세 약화, 기업 및 소비자의 신뢰도 하락 영향이 점점 커지면서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