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 전경. 부산상고회의소 제공
부산상공회의소는 기업 신용평가 전문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와 공동으로 지역 1만 5155개 기업의 매출액, 총자산회전율, 종사자 수 데이터를 분석한 ‘2022년 부산지역 산업 활력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부산지역 산업 활력 지수는 83.6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업활동이 위축됐던 2021년의 81.9 보다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기준연도인 2016년의 지수 100과 비교하면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산업 활력 지수는 2017년 96.3이었으나 2019년에는 87.5, 2020년 83.7, 2021년 81.9까지 떨어졌다. 산업 활력지수가 기준연도보다 낮아진 것은 지역 기업의 경영이나 영업 등의 활동성이 약화했다는 의미다.
지난해 산업 활력지수를 부문별로 보면 영업 활동성이 전년도 77.8에서 84.0으로 증가했지만, 경영 활동성은 85.2에서 84.5로, 고용 활동성은 82.6에서 82.2로 떨어졌다.
산업 활력지수를 업종별로 보면 2021년 비교해 전반적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업은 지수가 전년보다 6.1포인트 늘어 95.6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건설업 88.2, 서비스업 84.3, 제조업 81.6 순이었다.
지역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활력도가 가장 낮았는데, 경영 85.0, 영업 82.9, 고용 76.4로 세부 지수도 저조했다. 특히 고용 활동성은 인력 미스매치 상황이 반영돼 기준연도 대비 23.6포인트나 낮게 나타났다.
분야별 상위 100개 기업의 활력 지수는 기준연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상위 100개 기업의 활력 지수는 120.6, 고용 상위 100개 기업의 활력 지수는 119.5, 자산총계 상위 100개 기업의 활력 지수는 100.9를 기록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기업의 활동성 저하는 산업경쟁력 약화로 연결되는 만큼 기업에 대한 경영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주력 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제조업의 활력도가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고, 서비스업도 세부 지표의 효율이 떨어지는 만큼 산업별 맞춤형 지원 솔루션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