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의 공기질 개선 효과 탁월, 폭염 완화 효과
산림청, 올해 녹색 생활공간 294곳 새로 조성
![경기 수원산업단지에 조성된 미세먼지 차단숲. 산림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1/09/SSC_20240109135832_O2.jpg)
![경기 수원산업단지에 조성된 미세먼지 차단숲. 산림청](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1/09/SSC_20240109135832.jpg)
경기 수원산업단지에 조성된 미세먼지 차단숲. 산림청
8일 산림청에 따르면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1670억원을 투입해 도시숲 205곳과 정원 89곳 등 총 294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도시에 조성된 숲은 폭염 완화, 미세먼지 저감, 시민 휴식공간, 국민 건강 증진 등에 기여할 뿐 아니라 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에 대한 도시의 적응력을 높이는 기능이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2021년 12~2022년 3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인천 서구 석남동 산업단지와 주거지역 사이에 조성한 도시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한 결과 주거지역과 산업단지의 미세먼지 농도 차이가 확연했다. 이 기간 주거지역의 일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25.59㎍/㎥로 산업단지(42.48㎍)와 비교해 39.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 농도(20.23㎍) 역시 산업단지(34.76㎍)보다 41.8% 낮게 분석됐다. 산림청 자료에 따르면 중부지방의 40년생 소나무 한그루가 연간 7.8㎏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5.7㎏의 산소를 생산하며 미세먼지 35.7g을 흡수·흡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도시 생활권 내 도시숲은 한낮 평균 기온을 3~7℃ 낮추고, 습도가 평균 9~23% 높아져 열섬효과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시숲 유형](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1/09/SSC_20240109135834_O2.jpg)
![도시숲 유형](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1/09/SSC_20240109135834.jpg)
도시숲 유형
산림청은 올해 전국에 기후대응 도시숲(미세먼지 차단숲) 117곳과 도시바람길숲(19개 도시), 자녀안심 그린숲 69곳을 지방자치단체 신청 등을 통해 조성할 계획이다. 또 생활권역 실외정원 26곳과 소읍지역 실외정원 40곳, 실내정원 23곳 등 총 89곳의 정원을 확대키로 했다. 정원은 지난해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이후 문화·예술·치유 등 복합공간으로서 도시환경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산업으로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도시숲과 정원을 포함해 도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방향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자연과 조화로운 도시 조성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