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제공
19일 소셜미디어(SNS)에 따르면 자신을 사회초년생이라고 밝힌 A씨는 최근 ‘선배 결혼식 축의금 5만원 냈는데 제가 잘못한 것인가요’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A씨는 최근 직장 선배 결혼식에 참석하며 축의금으로 5만원을 준비했다. 그런데 다음날 선배가 ‘5만원을 낸 것이 맞냐. 내가 네게 서운하게 해준 게 있냐’고 말했다고 털어놨다.
A씨는 “바쁜데도 시간 내서 가줬더니 이런 소리를 하는 게 맞느냐”고 적었다.
그러면서 “난 결혼할 때 (그 선배를) 부를 생각이 없다”면서도 “재직 중인 회사가 작은 곳이라 참석하지 않기는 무리라고 생각돼 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의 ‘적정 액수’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요즘 식사비만 해도 5만원 이상인 경우가 많아서 축의금은 10만원이 기본이라고 하더라”고 적었다. 또 “결혼식에 참석하면 10만원, 참석하지 않으면 5만원을 내는 것이 사회 통념”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결혼식 이미지. 연합뉴스
이어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은 44%,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는 2%, 20만원 초과는 1%였다.
친한 사이에는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52%),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29%)를 낸다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20만원 초과 30만원 이하(13%), 5만원 이하(3%), 30만원 초과(3%) 등 순이었다.
축의금 준비 시 고려 사항으로는 ‘결혼식장 갈 때, 동반자가 있으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답이 76%로 가장 많았다.
또 ‘식사비가 비싼 곳이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61%로 결혼식장 식대가 축의금 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업계에 따르면 주요 예식장이 올해부터 예식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차림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면서 결혼비용도 치솟고 있다고 밝혔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3~4만원대에 불과했지만 6만원이 기본 요금인 시대가 됐다.
상차림 비용 상승은 고스란히 하객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이른바 축의금플레이션(축의금+인플레이션) 탓에 축의금 5만원과 10만원 사이를 두고 고민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호텔 예식의 경우 축의금 5만원을 내고 식사할 경우 본의 아니게 민폐 하객이 될 수 있다. 이에 축의금만 내고 식장을 가지 않은 ‘의도적 노쇼’ 하객들도 생겨나고 있다.
실제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지난해 인터뷰에서 “10만원 내기가 부담스럽다면 5만원만 내고 노쇼하는 방법도 있다”며 현실적 방안을 소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