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0명 중 3명은 마약류 사용 경험…마약 청정국 ‘옛말’

성인 100명 중 3명은 마약류 사용 경험…마약 청정국 ‘옛말’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4-04-12 11:05
수정 2024-04-12 1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소년 84% “국내에서 마약류 쉽게 구해”
마약 김밥·토스트 등 마약에 친숙한 느낌 유발

이미지 확대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인터넷·사회관계망서비스(SNS)·지인 소개 등을 통해 국내에서도 마약류를 구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서울신문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인터넷·사회관계망서비스(SNS)·지인 소개 등을 통해 국내에서도 마약류를 구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서울신문
우리나라 성인 100명 중 3명은 대마초·코카인·헤로인 등 마약류 물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성인 3000명과 청소년 2000명을 대상으로 마약류 인식 수준·사용 동기 등을 조사한 ‘2023년 마약류 폐해 인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마약 물질(13종) 중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성인 3.1%, 청소년 2.6%로 각각 나타났다. 가족·친구 등 지인 중 향정신성 약물을 사용할 것 같은 사람이 있다는 응답은 성인 11.5%, 청소년 16.1%에 달했다.

응답자 대다수는 한국이 마약 안전지대가 아니고, 마약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마약 청정국이 아니라고 답한 비율은 성인 86.3%, 청소년 70.1%에 달했고 인터넷·사회관계망서비스(SNS)·지인 소개 등을 통해 국내에서 마약류를 구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89.7%, 84.0%로 집계됐다.

마약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오남용 등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마약류나 약물 남용의 위험성을 안다는 응답이 성인 63.5%, 청소년 67.6%였지만 마약류가 유발하는 다양한 문제를 알고 있다는 응답은 각각 56.2%, 57.8%에 머물렀다.

성인 51.7%, 청소년 55.4%는 ‘의사가 처방한 약은 법적으로 마약류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인식했다. 의사가 처방한 졸피뎀·프로포폴 등은 향정신성 약물로서 의료용 마약류로 분류된다.

또 ‘마약 김밥’, ‘마약 토스트’ 등 마약 용어를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성인 46.5%, 청소년 48.6%는 마약에 친숙한 느낌을 들게 한다고 응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