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 없앤 작년 수능도 N수생 강세…수학 1등급 비율 3.5 배

‘킬러’ 없앤 작년 수능도 N수생 강세…수학 1등급 비율 3.5 배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4-12-08 16:32
수정 2024-12-08 16: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4학년도 수능 시험 결과 분석
N수생 국어·수학 평균 12점씩 높아
국수영 1·2등급도 N수생이 2~3배

이미지 확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가 배부된 6일 수험생들이 지원 가능 대학 배치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가 배부된 6일 수험생들이 지원 가능 대학 배치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N수생’(졸업생)의 국어·수학 평균 점수가 고3 재학생보다 12점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등급 비율도 N수생이 2~3배 많아 N수생 강세가 여전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공개한 ‘2024학년도 수능 성적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해 수능에서 N수생의 국어 표준점수 평균은 108.6점으로 고3 재학생(95.8점)보다 12.8점 앞섰다. 수학 표준점수 평균은 N수생이 108.2점으로 고3(96.1점)보다 12.1점 높았다. 절대평가인 영어에서 1등급 비율은 N수생이 7.1%로 고3(3.6%)의 두 배 수준이었다.

다만 N수생과 고3 간 격차는 2022학년도 통합수능 이후 가장 작았다. 2022학년도 수능의 N수생 표준점수 평균은 고3보다 국어 13.2점, 수학 12.3점 각각 앞섰고 2023학년도 수능에선 국어 격차는 12.9점, 수학은 12.4점으로 각각 분석됐다.

주요 영역의 1·2등급 비율도 졸업생이 우위를 보였다. 졸업생 가운데 지난해 수학 1등급을 받은 비율은 8.1%로 재학생(2.3%)보다 3.5배 이상 많았다. 2등급은 졸업생(13.0%)이 재학생(5.2%)보다 2배가량 많았다.

국어 역시 1등급은 졸업생 6.9%, 재학생 2.7%로 나타나 졸업생이 2.5배 이상 더 많았다. 2등급은 재학생 5.2%로 졸업생(11.9%)이 2.2배 규모였다. 영어에서도 1등급은 졸업생이 7.1%, 재학생이 3.6%로 졸업생이 약 2배였다. 2등급은 졸업생이 25.2%를 차지해 재학생(14.8%)보다 더 많았다.

대도시가 중소도시보다 평균 높아…서울 ‘최고’학교 소재지별로 보면 대도시 학교의 국어·수학 표준점수 평균(각 98.5점, 98.8점)이 중소도시(95.5점, 95.7점), 읍면지역(93.3점, 93.6점)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 소재 학교의 국어·수학 표준점수 평균이 최고였다. 서울의 표준점수 평균은 국어 101.2점, 수학 101.6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100점을 넘었다.

시도 내에서 학교 간 표준점수 평균의 차이가 가장 작은 곳은 광주로 국어는 21.4점, 수학은 23.4점 차였다. 광주의 성적 격차가 가장 작았다는 의미다. 평균 성적이 가장 우수한 서울의 경우 학교 간 성적 격차가 국어의 경우 52.5점으로 전북(57.7점), 경기(53.3점)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