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애 시설로 거듭난 서울시 성동구 응봉공원 화장실 모습. 서울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54946_O2.jpg.webp)
![무장애 시설로 거듭난 서울시 성동구 응봉공원 화장실 모습. 서울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54946_O2.jpg.webp)
무장애 시설로 거듭난 서울시 성동구 응봉공원 화장실 모습.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성동구 응봉공원과 동대문구 간데메공원에 휠체어가 쉽게 드나들 수 있는 무장애 시설을 만들었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는 공원 출입구와 보행로, 유도·안내시설, 화장실 등을 정비했다. 놀이터·주차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해 휠체어 이용자나 유아 동반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도 했다.
설계 과정에서 전문가 현장 자문을 통해 공원시설물 이용 불편 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해 반영했다. 램프를 새로 만들고 단차를 완화하고 포장을 개선하기도 했다. 또 통합 놀이시설·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을 확보하고 화장실 이용 편의성도 대폭 높였다.
이로써 서울시내 무장애 친화 공원은 총 14개로 늘었다. 여의도공원, 보라매공원, 월드컵공원, 천호공원, 북서울꿈의숲, 선유도공원, 서울숲, 남산공원, 길동생태공원, 중랑캠핑숲, 서서울호수공원, 용산가족공원, 응봉공원, 간데메공원가 무장애 친화 공원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4월 변화한 법 제도와 여건을 반영해 신규 공원 조성 및 기존 공원 정비 시 활용할 수 있는 ‘서울시 BF 공원(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원) 조성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제작한 바 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어린이·어르신·장애인·임산부 등 누구나 함께 어울리고 즐길 수 있는 휴식처가 될 수 있도록 무장애 친화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