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10626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43630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32315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10926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32400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33804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10947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5/SSI_20250205110904_O2.jpg.webp)
수요일인 5일에도 입춘 한파가 지속되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 아침 출근길 영하(-) 10도 안팎의 강추위가 예상된다. 전라권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또다시 폭설이 찾아오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낮겠다. 중부내륙과 전북동부, 경북동부는 -15도 이하까지 떨어지겠다.
낮에도 중부지방과 일부 남부내륙은 -5도, 나머지 지역도 대부분 0도 이하에 머물겠다. 낮 최고 기온은 -7~4도로 예상된다.
바람도 시간당 순간풍속 55㎞ 이상으로 불면서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매우 춥겠다.
강원영동과 전라해안, 경상권동해안, 제주도에 강풍 특보가 발효 중이다. 전라해안과 경상권동해안, 제주도는 다음 날(6일) 오전까지 시간당 순간풍속 70㎞ 이상의 강풍이 불겠다.
이미 많은 눈이 쌓인 전라권을 중심으로 제주도, 울릉도·독도에는 시간당 3~5㎝ 충남서해안에 시간당 1~3㎝ 폭설이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남서부와 충남권대륙, 충북중·남부, 경북서부내륙, 경남서부에는 오후 12시부터 6일 새벽까지 눈이 내리겠다. 경남서부내륙에는 오전 12시까지 0.1㎝ 미만의 눈발이 날릴 수 있다.
6일 오전까지 이틀간 예상 적설량은 울릉도·독도가 10~20㎝으로 가장 많겠다. 제주도산지는 5~15㎝고 많은 곳 20㎝ 이상 쌓이겠다. 충남서해안, 전북서해안, 전북남부내륙, 광주·전남서부 제주도중간산은 3~10㎝(많은 곳은 15㎝ 이상)다.
서해5도, 대전·세종·충남내륙, 충북중·남부, 전북북부내륙, 전남동부, 경남서부, 제주도해안에는 1~5㎝, 경기남서부와 경북서부내륙은 1㎝ 이하 눈이 쌓이겠다.
이 기간 비도 동반될 전망이다. 지역별 예상 강수량은 울릉도·독도 10~20㎜, 제주도 5~20㎜, 전북서해안, 전북남부내륙, 광주·전남서부 5~10㎜, 충청권과 나머지 전라권 5㎜ 미만, 경기남서부와 경부서부내륙 1㎜ 이하다.
눈과 비는 다음 날 오전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오후부터 다시 내리기 시작해 모레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주요 도시 기온은 △서울 -11.4도 △인천 -10.1도 △춘천 -15.9도 △강릉 -7.3도 △대전 -10.2도 △대구 -6.6도 △전주 -8.4도 △광주 -6.4도 △부산 -5.5도 △제주 2.8도다.
최고 기온은 △서울 -5도 △인천 -5도 △춘천 -4도 △강릉 -1도 △대전 -2도 △대구 0도 △전주 -1도 △광주 1도 △부산 3도 △제주 6도로 예상된다.
미세먼지 농도는 전 권역이 ‘좋음’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