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I_20250206143427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I_20250206143414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I_20250206143443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I_20250206143459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I_20250206143524_O2.jpg.webp)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6/SSI_20250206143537_O2.jpg.webp)
입춘(立春)에 시작한 한파가 6일까지 나흘째 이어지고 있다. 이날 곳곳에 눈도 예고됐다.
이날 아침 기온은 영하 17도에서 영하 4도 사이에 분포했다.
서울은 기온이 영하 11.5도까지 떨어졌는데, 이는 예년 이맘때 기온(영하 4.6도)보다 6.9도나 낮은 것이다. 강원 철원군은 영하 18.0도, 경기 파주시는 영하 17.3도, 충남 천안시는 영하 15.3도까지 기온이 내려갔다.
제주조차 아침 기온이 0도 언저리에 그쳤다.
제주시는 오전 8시까지 최저기온이 영상 0.2도, 서귀포시는 영하 1.5도였다.
이날 낮 최고기온도 영하 3도에서 영상 5도 사이에 머물 전망이다.
전국에 부는 순간풍속 시속 55㎞(15㎧)의 강풍은 체감온도를 낮춰 더 춥게 만들겠다. 보통 풍속이 1㎧ 빨라지면 체감온도는 1.6도 내려간다.
한파 속에 전국적으로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이날 오전까지 충남남부서해안과 전북서해안, 전남서부에 눈, 제주에 눈 또는 비가 내리겠다. 이 지역들은 최근 며칠간 눈비가 이어졌다.
이날 오전까지 추가로 내려 쌓일 눈의 양은 전북서해안·광주·전남서부·제주산지 3∼8㎝, 제주중산간 1∼5㎝, 충남남부서해안과 제주해안 1㎝ 안팎이다.
오후부터는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충청, 경북내륙에 눈이 오겠다. 밤에는 호남과 경남북서내륙에도 눈이 내릴 전망이다. 몽골 쪽에서 남하해오는 대기 상층 기압골의 영향이다.
이 눈은 날을 넘겨 이어지겠다.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는 7일 오전, 충청과 영남은 오후, 호남과 제주는 밤까지 눈(제주는 눈 또는 비)이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