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늑약 후 일제가 기존 소학교 흔적 없애려”
인천시가 1937년 이전 개교한 초중고를 대상으로 실제 개교일과 설립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각급 학교의 연혁을 재정비한 결과 100년 이상된 학교가 23곳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이중 옹진군 대청도에 있는 통합학교인 대청초·중·고는 개교연도가 당초 1932년에서 1921년으로 11년 앞당겨지며 100년 학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학교는 1932년 3월 대청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기 전 섬 주민들이 자금을 모아 세운 대청의숙(1921년)과 사립대청보통학교(1926년)로 존재한 사실이 새롭게 드러났다. 1925년 10월 17일자 동아일보에는 “사립대청학교는 1921년 5월 김학선,김학필,심두성,조명암,김정호 등의 발기로 창립했다”는 내용이 보도됐다.
![지난해 5월 열린 인천창영초등학교 100년 기념 현판식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9/SSC_20250209144908_O2.jpg.webp)
![지난해 5월 열린 인천창영초등학교 100년 기념 현판식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9/SSC_20250209144908_O2.jpg.webp)
지난해 5월 열린 인천창영초등학교 100년 기념 현판식 모습.
인천 동구 인천창영초와 강화군 길상초·서도초·하점초 등 4개 학교도 최초 설립 시기가 새롭게 확인돼 짧게는 11년에서 길게는 28년 까지 개교 연도가 앞당겨졌다. 창영초는 그동안 1907년에 개교한 인천공립보통학교를 출발점으로 삼았지만,1896년 인천부공립소학교로 존재한 사실이 각종 문헌을 통해 밝혀졌다. 학계에서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가 보통학교로 학제를 개편하면서 애국심 함양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존 소학교의 흔적을 없애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강화 길상초는 1920년 길상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을 때 보다 14년 빠른 1906년 당시 영국인 선교사에 의해 ‘진명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한 사실이 확인됐다. 또 서도초는 1935년 서도공립보통학교에 앞서 1907년 주문보창학교로,하점초는 1922년 하점공립보통학교에 앞서 1907년 봉명학교로 설립된 기록이 나왔다.
인천시교육청은 인천 교육의 역사를 새롭게 정립하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앞으로도 숨은 교육의 역사를 지속 발굴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