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청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5/27/SSC_20240527204729_O2.jpg.webp)
![전북특별자치도청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5/27/SSC_20240527204729_O2.jpg.webp)
전북특별자치도청사.
전북특별자치도와 주요 기초지자체가 발주한 사업 10개 중 2개는 외지 업체와 계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은 전북도와 6개 시의 계약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북도는 도외 계약이 24.1%, 주요 6개 시군은 21.5%가 관외·도외 계약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단체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전북도 총계약액은 1361억 3000만원으로, 도내 계약이 75.9%, 도외 계약이 24.1%를 차지했다. 도외 계약으로 328억원이 타 시도로 유출됐다는 게 단체의 주장이다. 특히 용역 계약의 경우 도외 업체와의 계약이 절반이 넘는 53.1%이었다.
단체는 전주시를 비롯한 6개 시 지역의 경우 총계약액의 21.5%인 2514억원이 도외 업체와 계약으로 지방재정이 지역 내에서 순환되지 못하고 외부로 유출됐다고 강조했다. 지역별로는 전주시가 54.7%로 가장 높은 관내 계약 비율을 보였고, 남원시는 34.6%로 관내 계약 비율이 가장 낮았다.
단체는 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공사, 물품 구매, 용역에 대한 계약 현황을 파악해 지방재정이 계약을 통해 얼마나 지역에 순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단체는 “지방 중소도시는 민간 산업체 기반이 수도권이나 대도시와 비교해 취약하므로 자치단체의 예산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자치단체가 행하는 공사, 물품 구매, 용역은 지역의 경제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최대한 지역에서 소화되고 순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