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가득한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2/SSC_20250212130417_O2.jpg.webp)
![컨테이너 가득한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2/SSC_20250212130417_O2.jpg.webp)
컨테이너 가득한 부산항 감만·신감만 부두 (연합뉴스)
세계적인 항구도시의 명성을 걸맞게 부산항의 부가가치 유발 규모가 지역 전체 산업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컨테이너 물동량 확대, 운임 상승으로 부산항의 가치가 대폭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부산본부가 발표한 ‘부산 지역 항만 물류 산업의 현황 및 향후 발전 방안’ 조사 연구 결과를 보면, 부산항의 부가가치 유발 규모는 2022년 기준 344억 원으로 부산 지역 내 전체 산업 중 가장 크다. 자동차, 일반 기계업, 창고업 순으로 부가가치가 높게 분석됐다.
항만 산업의 지역 경제 기여도 또한 증가했다 부산 지역의 항만 산업 매출 비중은 전체 산업의 6.4%에서 2022년 9.1%까지 상승했다. 항만 산업 종사자 비중도 전체 8.5%로 전국 평균 5.4%보다 3% 이상 높았다.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 창출액은 물류 시설 운영의 경우 2억 1000만 원, 물류 서비스업은 9300만 원으로 나타났다.
부산 지역 운수 및 창고업의 부가가치액이 1%포인트 증가할 경우 부산 지역 내 총부가가치액은 0.39%P 증가하는 등 항만업이 지역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역할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