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둘선 모델, 동신대 여성리더십 특강
의상·워킹으로 ‘나의 이미지’ 완성법 제시


박둘선 모델이 7일 전남 나주 동신대학교 여성리더십 최고위과정 특강에서 ‘자존심 그리고 스타일’을 주제로 강연하며 “패션과 워킹은 곧 자존심”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모델이자 베이커인 박둘선 씨는 “옷과 걸음걸이는 내가 누구인지를 말하는 첫 번째 언어”라고 설명했다.
패션과 워킹이 곧 자존심이라고 했다. 박 씨는 7일 전남 나주 동신대학교(총장 이주희) 여성리더십 최고위과정 특강에서 ‘자존심 그리고 스타일’을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의상과 걸음걸이는 한 사람의 성격과 태도를 가장 선명히 드러내는 도구라고 했다.
1997년 SFAA 패션쇼에서 데뷔한 뒤 크리스찬 디올·겐조·구찌·베르사체의 세계적인 런웨이를 누빈 박씨다. 이날 강연에서 그는 패션과 워킹을 통한 이미지 메이킹 전략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디자이너는 모델의 워킹을 보고 옷을 맡긴다. 일상에서도 우리는 의상과 걸음걸이로 신뢰와 자존감을 드러낼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씨는 의상 스타일에 따라 달라지는 대표적인 이미지를 네 가지로 구분했다. 청청 패션은 자유롭고 젊은 감성이고 로코코 패션은 화려함과 관능미가 있으며 미니멀 패션은 정제된 스마트함, 와이드 패션은 여유와 권위를 담는다고 말했다. 그는 “의상이 사람의 인상을 바꾸듯 걸음걸이도 의상과 조화를 이뤄야 자연스럽다”고 말했다.
강연에 이어 실습으로 이어졌다. 박씨는 참가자들의 워킹 자세를 하나하나 살피더니 정장 워킹·드레스 워킹·퍼스널 워킹·파워 워킹 등 상황별 걷기 전략을 제시했다. “정장 워킹은 몸의 중심축을 세우고 단정히 걷지만, 드레스 워킹은 어깨의 힘을 빼고 S라인을 따라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걸음걸이 역시 의상, 직업, 상황에 맞게 달라져야 합니다.”
그는 “외형은 사소해 보이지만 전략적 관리가 필요한 요소”라면서 “때로는 메이크업을 하지 않는 것조차 의도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 씨는 베이커로서 밀가루와 씨름하는 일상과 모델로서 무대 위 이미지를 넘나드는 경험담도 들려줬다.
박 씨는 특히 “자신의 자리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본인이다. 헤어·메이크업·의상 선택은 곧 자존심의 표현이다”고 했다. 그는 또 “옷은 쉽게 바꾸기 어렵지만 헤어와 메이크업은 변화 주기 쉬운 영역이다. 자신의 이미지와 목적을 명확히 알 때 가장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스타일링이 완성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