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보도 그후] 한국국제교류재단 “정규직·비정규직 별도 분리 채용”

[서울신문 보도 그후] 한국국제교류재단 “정규직·비정규직 별도 분리 채용”

오세진 기자
입력 2017-02-10 16:20
업데이트 2017-02-10 1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달라진 채용 공고문
한국국제교류재단의 달라진 채용 공고문 ‘최종 합격 통보 시 고용 형태(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안내’라는 채용 공고문으로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된 한국국제교류재단이 채용 공고문을 수정하고 채용 시스템을 변경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국제교류재단 홈페이지 화면 캡처
‘최종 합격 통보 시 고용 형태(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안내’라는 채용 공고문으로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된 한국국제교류재단(이하 재단)이 채용 공고문을 수정하고 채용 시스템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재단 관계자는 10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직원 채용 공고문 수정 및 채용 시스템 변경을 통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입사지원서를 별도로 분리해 (입사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조치했다”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채용 트랙을 분리했다”고 말했다.

앞서 재단은 지난 3일 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 게시판에 ‘직원 채용 공고문’을 올렸다. 재단은 이날부터 국제교류 분야에서 신입·경력·러시아어 능통자, 그리고 전시기획 분야 등 총 4개 분야에서 직원을 새로 모집했다.

그런데 재단은 당시 위 채용 분야 중 국제교류 ‘신입’과 ‘러시아어 능통자’ 분야에 있어서 “고용 형태(정규직 또는 비정규직)를 구분하지 않고 모집하며, 이에 동의한 자에 대해서만 응시 가능”이라는 단서를 제시했다. 그러면서 “최종 합격 통보 시 고용 형태(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안내”라는 조건을 덧붙였다([단독] 채용한 후에야 정규직·비정규직 여부 알려주겠다는 공공기관).

이는 최종 임용된 후에야 정규직 직원으로 선발된 것인지, 비정규직(기간제계약직) 직원으로 선발된 것인지를 알려주겠다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는 대목이었다.

이에 재단 관계자는 “재단은 정규직이나 비정규직이나 고용형태만 다를 뿐 동일한 일을 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보수 및 복리후생 등 모든 노동 조건을 동일하에 운영해 차별을 두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비정규직이라 하더라도 ‘동일 노동, 동일 임금’ 원칙이 적용되고 있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채용 절차가 동일해 이번 정규직 채용 과정에서 비정규직도 함께 채용하자는 취지에서 공고문을 작성했다는 것이 재단의 설명이다.

재단 측은 “예를 들어 정규직을 3명 채용하고 비정규직도 3명 정도 채용할 계획이라면 최종면접 점수 순으로 3명은 정규직으로 합격시키고, 예비 합격자로 7명 정도 발표해 예비 합격 순서(점수순)에 따라 본인이 희망할 경우에 비정규직으로 채용하려고 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원자들이 입사 지원서를 제출할 때 정규직으로뿐만 아니라 비정규직으로도 채용될 수 있음을 미리 인지하고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고 해서 정규직·비정규직 채용 공고를 한꺼번에 냈던 것”이라면서 “하지만 처음 공고문만 볼 때는 오해의 소지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잘못을 시인했다.

현재 재단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채용 트랙을 분리해 지원하도록 채용 시스템을 수정 조치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