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유해 적조생물 급증

동해안 유해 적조생물 급증

입력 2013-08-14 00:00
업데이트 2013-08-14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영 등 남해안도 밀도 높아… 경남 총 2062만 마리 폐사

남부 지역의 폭염과 수온 상승으로 유해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의 밀도가 크게 높아졌다. 이 때문에 남해안을 중심으로 양식 어류 수천만 마리가 폐사하는 피해가 발생했다.
통영 앞바다 ‘적조 방제’
통영 앞바다 ‘적조 방제’ 박근혜 대통령이 적조 피해가 심각한 경남 통영 앞바다를 찾은 13일 현장에서 한창 적조 방제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통영 청와대사진기자단


1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경북 울주군 앞바다의 적조 밀도는 980개체/㎖에서 1만 250개체/㎖, 경주는 1000개체/㎖에서 2만 개체/㎖로 증가했다.

경남 사천의 적조생물 밀도는 감소했지만 남해도, 고성, 통영, 거제와 부산, 전남 여수 앞바다의 적조생물 밀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동해안은 당초 예상과 달리 이달 초부터 냉수대가 대부분 소멸돼 남해안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수온이 상승해 적조가 확산되고 밀도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해수부는 이번 주는 소조기(밀물과 썰물의 해면 높이가 높지 않아 바닷물이 정체되는 시기)로, 남해안에서는 폭염과 높은 일사량이 계속돼 연안 안쪽 해역을 중심으로 고밀도 적조가 움직이지 않고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동해 남부(기장~포항) 지역의 경우 시시각각 변하는 냉수대에 따라 적조 밀도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게릴라성 적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고밀도 적조 현상을 보이고 있는 곳은 남해도 서부 해역, 남해도 남부 해역, 하동군 금남 해역 등이다. 또 삼천포 대교 앞, 고성, 통영 앞바다, 거제도 남동부 해역에도 고밀도 적조가 분포해 있다.

이런 적조밀도 증가는 양식어류 폐사로 이어졌다. 경남도의 경우 13일까지 모두 2062만 마리의 양식어류가 폐사해 168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날 하루 동안만 통영·남해·하동에서 양식어류 36만 4000마리가 폐사했다. 피해액은 2억 2000만원 정도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남해안 일대에 폭염특보가 내려져 있고 일사량도 높은 편이어서 다음 달까지 적조 피해가 현재 상태로 유지되거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3-08-14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