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41% 감소” 4대강 보 개방 1년…모래톱도 회복

“녹조 41% 감소” 4대강 보 개방 1년…모래톱도 회복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8-06-29 22:30
수정 2018-06-29 23: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대강 16개 보 가운데 10개 보를 지난 1년간 단계적으로 개방한 결과 녹조가 많게는 41% 감소하고 생태계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9일 홍남기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통합물관리 상황반’ 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4대강 보 개방 중간 결과를 확인하고 향후 보 개방 계획을 발표했다. 수문을 완전 개방한 세종보와 공주보의 ‘조류 농도’(클로로필a·녹조)가 개방 전보다 각각 41%, 40% 줄었다. 승촌보는 지난 4월 완전 개방한 뒤로 조류 농도가 37% 감소했다. 4대강 사업 이후 ‘녹조 라테’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던 4대강 보 녹조가 줄어든 것이다. 보를 제한적으로 개방했음에도 물 체류 시간이 29∼77% 줄고 유속이 27∼431% 빨라졌다. 특히 낙동강 보를 최대한 개방하면 수질 오염 물질이 강에 떠다니는 시간을 약 65일(90%) 줄여 취수원 안전을 지키는 효과도 있었다.

또 생물 서식지 역할을 하는 ‘모래톱’이 회복되고 악취와 경관 훼손의 원인이었던 퇴적물이 줄어 동식물의 서식 환경도 개선됐다. 승촌보에서는 보 개방 이후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 2급) 개체수가 증가했고 세종보 상류에서는 독수리(멸종위기 2급)가 처음 관찰됐다. 그러나 4대강 보 개방이 홍수와 가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가 빠져 ‘긍정 효과’만 겨냥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홍 실장은 “4대강 자연성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 개방을 더 확대할 필요성도 느꼈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8-06-3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