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 뒤에는 ‘여성 부장검사 시대’

4~5년 뒤에는 ‘여성 부장검사 시대’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16-04-07 22:48
수정 2016-04-07 2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4기 여성검사 33기보다 2배 늘어 ‘여성 간부’ 비율도 크게 오를 듯

평균 근속은 男 10.9년·女 6.7년

이미지 확대
현재 검찰 조직은 철저히 남성 중심적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2045명인 전국 검사 중 72.0%인 1472명이 남성이다. 여성은 573명, 28.0%에 불과하다. 하지만 4~5년 뒤에는 간부급 중 여성 비율이 급격히 늘 것으로 전망된다. 여성 수가 크게 증가한 사법연수원 34기가 부장 등 주요 보직을 맡는 시점이다.

7일 법무부의 ‘기수별 남녀 검사 비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현직 최고 기수인 10기부터 20기까지 남성 검사는 모두 75명이다. 여성은 조희진(54·19기) 의정부지검장이 유일하다.

21기에서 30기까지도 남성 검사는 적게는 기수별 28명(22기), 많게는 83명(29기)까지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데 반해 여성 검사는 기수별로 많아야 2~3명에 불과하다. 올해 부장검사로 승진한 30기가 14명으로 그나마 여성 검사가 늘었다.

하지만 34기 남성 검사는 77명, 여성 검사는 32명으로 집계됐다. 이전 기수인 33기가 남성 검사 75명, 여성 검사 17명인 데 비해 여성 검사가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34기는 4~5년 뒤에는 간부인 부장검사로 승진할 여지가 높아 여성 검사의 간부급 진출이 급증하게 된다.

여성 검사 비율이 크게 높아지면서 검찰 역시 우수 여성 검사를 리더로 양성하는 데 적극적이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 1월 말 인사에서 여성 검사를 주요 보직에 적극 기용했다. 박지영(46·29기) 검사를 총무부장으로 임명한 데 이어 박성민(41·31기) 검사를 공안2부 부부장검사로 기용했다. 검찰 관계자는 “그동안 공안부에 여성 검사를 배치한 전례가 있으나 부부장검사급 간부는 개청 이후 처음”이라고 밝혔다.

평검사 중 최고참으로 각 부의 수석 검사에 해당하는 여성 검사도 6명이나 나왔다. 주요 부정부패 사건을 수사하는 특수3부 수석검사로는 최영아(39·32기) 검사가 보임됐다. 최 검사는 지난해 특수3부에 배치돼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에도 참여했다.

구태연(44·32기), 김향연(43·32기), 한진희(44·33기) 검사는 각각 조사1부, 공정거래조세조사부, 여성아동조사부 수석검사로 배치됐다.

여전히 검사 1인당 평균 근속 연수에서는 남녀 간 차이가 컸다. 지난해 말 기준 검사 1인당 평균 근속 연수는 9.7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로 따져보면 남성 검사는 10.9년, 여성 검사는 6.7년에 불과했다. 재경지검의 한 여성 검사는 “10여년 후에는 더 많은 여성 검사가 간부급으로 진출하면서 검찰 조직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6-04-0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