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 삼성·부영 등 대기업 상대 노골적 ‘돈 뜯기’ 정황

崔, 삼성·부영 등 대기업 상대 노골적 ‘돈 뜯기’ 정황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16-11-03 22:58
수정 2016-11-04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 35억원 최씨측에 유입 흔적… ‘부영 세무조사 편의’ 대가도 논의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0)씨가 삼성과 부영 등 대기업에서 노골적으로 거액을 받아내 왔다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검찰은 국내 주요 그룹 계열사 53곳이 총 774억원을 미르·K스포츠 재단에 출연한 데 대해 롯데와 SK, 삼성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하고 다른 기업들에 대해서도 다음주 수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3일 미르·K스포츠 재단 불법 모금과 관련해 삼성의 김모 전무를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했다. 검찰은 김 전무를 상대로 기금 출연 과정과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최씨가 딸 정유라(20)씨와 독일에 설립한 비덱 스포츠에 280만 유로(당시 환율 기준 약 35억원)의 삼성 측 자금이 넘어간 흔적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컨설팅 비용 명목으로 흘러간 돈 가운데 10억원 이상이 정씨를 위해 그랑프리 대회 우승마를 사는 데 쓰였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안 전 수석이 부영그룹의 이중근 회장과 직접 만나 세무조사 편의 대가로 K스포츠 재단 지원을 논의한 정황도 드러나기도 했다. 최근 공개된 K스포츠 재단 회의록에 따르면 안 전 수석은 지난 2월 K스포츠 재단 정현식(63) 전 사무총장과 함께 이 회장을 만났다. 정 전 사무총장은 “부영에서 (체육인재 육성 사업) 5대 거점 지역 중 우선 1개 거점 시설 건립에 지원해 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고, 이에 대해 이 회장은 “최선을 다해서 돕도록 하겠다”며 세무조사를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국세청 관계자는 “당시 세무조사를 통해 1000억원대 세금을 추징했고 지난 4월 부영주택과 이 회장을 조세포탈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며 이들의 논의가 세무조사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검찰은 이날 롯데 소진세 사장과 SK 대관 업무 담당 임원등을 불러 조사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6-11-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