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복 비자금 일부 전달한 듯… 1조 7800억 대출 특혜도 조사
부산 해운대 엘시티(LCT) 비리를 수사 중인 부산지검 특수부(부장 임관혁)는 5일 구속 수감된 현기환(57·구속)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처음 소환해 강도 높게 조사했다. 검찰은 6일에도 소환해 조사한다. 현 전 수석은 지난 1일 구속된 이후 건강상의 이유로 검찰 소환에 두 차례 불응했다.검찰은 특히 엘시티 시행사 이영복(66·구속 기소) 회장에게 받은 ‘50억원대의 뭉칫돈’에 대한 성격 등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회장이 회삿돈을 빼돌려 조성한 705억원 규모의 비자금을 추적한 결과 그가 2014년 11월쯤 50억원 상당을 인출한 뒤 현 전 수석에게 건넨 것으로 파악했다. 검찰은 현 전 수석이 정관계 인사를 이 회장에게 소개하고, 이 회장의 비자금 중 50여억원이 현 전 수석을 거쳐 이들에게 흘러들어 갔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 전 수석은 이에 대해 “지인이 자금 융통에 어려움을 겪어 이 회장과 금전 거래를 할 수 있게 해 준 것뿐”이라며 혐의를 완강히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현 전 수석이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있던 지난해 포스코건설이 엘시티 시공사로 참여하고 금융권에서 1조 7800억원대 대출이 가능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청와대 비선 실세 최순실(60·구속 기소)씨가 관련됐다는 의혹도 조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회장이 최씨와 서울 강남에서 고액 계모임을 하면서 친분을 쌓은 것으로 보고 있다. 최씨가 현 전 수석과 함께 엘시티 인허가 과정, 시공사 선정, 금융권 대출 알선 등에 개입했을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 1일 부산시청 건설본부장을 지낸 엘시티 시행사 감사 이모(71)씨의 집을 압수수색하고, 이씨를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이씨가 2009년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된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부산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는 2009년 12월 엘시티에 특혜성 행정 조치를 쏟아 냈다.
검찰은 조만간 엘시티 인허가를 담당한 행정기관인 부산시청, 해운대구청, 부산도시공사의 당시 고위 인사들과 담당 공무원들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6-12-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